LG에너지솔루션(대표 권영수)이 2023년 하반기부터 테슬라(Tesla)에게 공급할 원통형 4680 배터리를 양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공장에 총 7300억원을 투자해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을 신증설할 계획이다.
오창2공장에 5800억원을 투자해 총 9GWh의 원통형 배터리 신규 폼팩터(4680) 양산설비를 구축하고 오창1공장에도 1500억원을 투자해 4GWh의 원통형 배터리(2170) 라인을 증설해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4680 배터리 양산설비 구축 및 생산 계획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4680 배터리는 지름 46mm, 길이 80mm의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지름 21mm에 길이 70mm) 대비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높이고 주행거리는 기존 대비 16% 늘린 것이 특징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20년 9월 배터리 데이에서 소개한 사양으로, 테슬라는 일본 파나소닉(Panasonic)과 함께 4680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자동차(EV)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4680 배터리가 전기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좌우할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투자를 통해 약 13GWh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보해 원통형 배터리 채용 완성차와 소형 전기자동차(LEV)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를 적극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파우치형에 이어 원통형 분야에서도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4680으로 대체될 미래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NCMA·NCM 등 양극재의 니켈 함량 비중이 60% 이상인 하이니켈 배터리가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1년 하반기 세계 최초로 NCMA 배터리를 양산했고 30여년간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해온 경험이 있다.
배터리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이 4680 배터리 양산을 위해 투자하는 것은 테슬라로부터 수주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면서 “기존 파우치 뿐만 아니라 원통형 시장에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GM(제너럴모터스)과 유럽 폭스바겐(Volkswagen), 한국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해 르노(Renault), 볼보(Volvo), 스텔란티스(Stellantis) 등 대부분 메이저 완성차 생산기업을 수요기업으로 확보했으며 2022년 1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300조원에 달했다.
반면, 원통형 배터리를 주로 생산하는 일본 파나소닉은 테슬라 의존도가 높고 최근 원통형 배터리 진출을 밝힌 중국 CATL은 에너지 밀도가 낮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새로 건설하는 생산라인은 원격 지원, 제조 지능화 및 물류 자동화 등 최신 스마트팩토리 관련 시스템을 전격 도입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