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이 2021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비전(트리플A)과 2050 탄소중립 성장을 포함한 중장기 전략을 통해 금호석유화학이 제시하는 ESG 메가 트렌드 및 실행 방안에 대한 청사진을 담고 있으며 최근 금호석유화학 ESG위원회 의결사항으로 최종 승인됐다.
금호석유화학은 주력제품군의 친환경 전환을 위해 △고기능성 타이어용 합성고무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에 재활용 SM(St
yrene Monomer)을 적용한 Eco-SSBR △폐PS(Polystyrene)를 냉장고 등 가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한 PCR PS △온실가스 배출 계수가 낮은 NB(Nitrile Butadiene)-라텍스 등 다양한 대표제품의 친환경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신 성장동력으로는 △2차전지용 CNT(Carbon Nano Tube) 개발 및 전기자동차(EV) 등 미래 모빌리티 소재 강화 △바이오 소재(실리카) 활용한 합성고무 개발 △금호P&B화학의 BPA(Bisphenol-A)에 수소를 첨가한 HBPA 개발 등을 소개하고 있다.
안전환경 경영 역시 ESG의 핵심으로 2022년 안전환경 전담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신설했으며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공동의 행복을 추구한다는 비전 아래 중대재해 제로화, 안전보건 인프라 구축, 자율적 안전보건 관리 문화 장착이라는 3대 목표를 세우고 중대재해 예방 안전 결의대회를 실시하는 등 전사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ESG 팩트북 챕터를 별도로 구성해 항목별 실제 데이터 기반의 정성적·정량적 성과를 기록했다.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감축 활동 등 환경 항목(E) △노동과 인권, 안전보건, 정보보안 등 HRD 관련 항목(S) △이사회와 윤리경영 등 지배구조 관련 항목(G) 등으로 파악된다.
금호석유화학은 6월27일 한국TCFD얼라이언스 발족식에 참여하며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지지를 선언했다.
TCFD는 기후변화가 금융기관 및 금융기관의 투자 대상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지배구조‧경영전략 항목에서 정보 공개를 권고하는 협의체로 금호석유화학의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 역시 TCFD 권고안 내용을 준수해 작성했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진심으로 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며 “아직 시작 단계인 만큼 주주, 수요기업 등 이해관계자들과 더욱 투명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