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보합세에 만족했다.
아시아 PP 시장은 국제유가가 폭락한 가운데 원료가격 하락에 정기보수 후 재가동이 잇따르고 있으나 변동이 없었다.

아시아 PP 시세는 7월6일 CFR FE Asia 기준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톤당 1075달러, IPP Film 및 BOPP는 1085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1095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CFR SE Asia도 라피아 및 인젝션 1200달러, IPP Film 및 BOPP 1210달러, 블록 코폴리머 1225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CFR S Asia는 라피아·인젝션 1315달러, BOPP는 1340달러, IPP Film는 1335달러, 블록 코폴리머 1385달러를 유지했다.
국제유가가 7월6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100.69달러로 폭락하고 프로필렌(Propylene)이 7월5일 CFR China 955달러, FOB Korea 955달러로 각각 40달 하락했음에도 현상을 유지했다.
Oriental Energy Zhangjiagang이 5월25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장쑤성(Jiangsu) Zhangjiagang 소재 PP 40만톤 플랜트를, Lihe New Material & Technology은 5월27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Cangzhou 소재 30만톤 플랜트를, Shaoxing Sanyuan Petrochemical은 6월20일 기술적인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저장성(Zhejiang) Shaoxing 소재 No.1 PP 20만톤 플랜트를, Xuzhou Haitian Petrochemical은 6월21일 정기보수 들어간 장쑤성(Jiangsu) 쑤저우(Xuzhou) 소재 20만톤 플랜트를 최근 재가동했으나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PP-프로필렌의 스프레드가 톤당 110달러 수준에 불과해 손익분기점 150달러를 크게 밑돌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중국 플랜트의 재가동이 잇따르면서 공급과잉이 확대되고 있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폭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Sinopec Tianjin Petrochemical은 톈진(Tianjin) 소재 PP 22만톤 플랜트를 6월19일부터 정기보수하고 있다.
중국 내수가격은 Yangzi Petrochemical, Shanghai Petrochemical이 톤당 8900위안, 나머지는 8450-8800위안 사이를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