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대표 김준)이 창사 60주년을 맞아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은 10월6일 SK 울산컴플렉스(울산CLX)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7년까지 약 5조원을 투자해 넷제로 달성을 앞당기겠다고 선언했다.
SK 울산CLX는 1964년 국내 최초 정유공장으로 시작해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왔으며 SK이노베이션이 미래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고자 친환경 에너지·소재 전문기업으로 도약을 선포함에 따라 2030년까지 탄소 50% 감축, 2050년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생산제품 및 과정의 그린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순환경제 구축에 1조7000억원, 설비 전환 및 증설을 통한 친환경제품 확대에 3조원 등 5조원을 투자하는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당장은 석유제품 대체품이 없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생산설비를 변경하고 그동안 생산해온 석유화학제품을 재활용할 계획이며 순환경제 구축 차원에서 폐플래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SK지오센트릭은 2025년 하반기까지 SK 울산CLX에 폐플래스틱 약 25만톤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세계 최초로 3개 재활용 공정인 고순도 PP(Polypropylene) 추출, 해중합, 열분해 공정을 모두 갖춤으로써 PE(Polyethylene)/PP,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복합소재를 모두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 플래스틱 재활용 공장 대다수가 기계적 재활용(MR: Mechanical Recycle)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SK지오센트릭의 클러스터는 화학적 재활용(CR: Chemical Recycle) 기술을 기반으로 할 계획이다.
탄소에서 그린 사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설비 전환 및 신증설에도 투자한다.
먼저 SK 울산CLX를 친환경 사업장으로 바꾸고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처리설비 건설, 환경경영 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등 안전·보건·환경(SHE) 투자에 나서고 장기적으로는 휘발유·경유 수요 감소, 친환경 항공유(SAF) 수요 증가 등 탈탄소 기조에 따른 연료 수요 구조 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다.
석유제품 수요가 급감할 시기에 대비해 생산 공정을 화학제품용으로 전환하고 SAF 생산공정을 도입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SK 울산CLX는 즉시 실행 가능한 공정 효율 개선, 저탄소 연료 전환을 통한 탄소 감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재영 울산CLX 총괄은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중심의 공정 개선, 연료 전환 등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탄소 감축 관련 신기술도 계속 발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60년 동안 에너지를 공급해온 역량을 바탕으로 탈탄소 에너지에 기반을 둔 친환경 소재 및 리사이클 리딩 플랜트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