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대표 이두희‧허세홍)가 여수 MFC(Mixed Feed Cracker)를 완공했다.
GS칼텍스는 11월11일 여수2공장 인근에서 MFC 준공식을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수 MFC는 GS칼텍스가 창사 이래 최대인 2조7000억원을 투자한 올레핀 생산설비로 에틸렌(Ethylene) 75만톤, PE(Polyethylene) 50만톤, 프로필렌(Propylene) 41만톤, 혼합 C4유분 24만톤, 열분해 가솔린 41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원료로 나프타(Naphtha)는 물론 액화석유가스(LPG), 석유정제가스 등 정유공정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유분을 투입할 수 있어 나프타를 원료로 투입하는 기존 NCC(Naphtha Cracking Center)와 비교해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MFC에는 단위별 국내 최대인 15만톤의 가열로가 총 5기 설치됐고 지하배관과 주요 장치를 추가 건설해 에틸렌 생산능력을 최대 100만톤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대비했다.
GS칼텍스는 MFC에서 생산하는 에틸렌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고자 우선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시장에 진출했으며 MFC와 연계한 HDPE 공정을 설치했다.
MFC는 기존 고도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같은 생산능력을 갖춘 석유화학설비보다 에너지 사용량을 약 10% 줄일 수 있으며 액화천연가스(LNG) 사용량 절감으로 7만6000톤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GS칼텍스는 MFC를 통해 비정유 사업 구조 전환에 속도를 붙여 국제유가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손익 변동성을 줄일 계획이다.
또 MFC가 에너지 전환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MFC 준공은 비정유 비중이 확대되는 사업 다각화와 성장성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다양한 생산제품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GS칼텍스는 정유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친환경에너지, 자원 재활용까지 포괄하는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