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대표 지동섭)이 연세대, 한양대와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한다.
SK온은 11월17일 연세대 제1공학관에서 진교원 SK온 사장, 박승한 연세대 연구부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세대와, 한양대 퓨전테크센터에서는 최경환 SK온 차세대배터리담당, 김찬형 한양대 공대학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양대와 산학협력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온과 두 대학은 리튬 보호층 소재 개발 등 다양한 원천기술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배터리 혁신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차세대 배터리의 개발·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양 대학은 전고체전지 관련 논문과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산학협력센터에는 차세대 배터리 분야 교수진과 석박사 연구원이 참여할 예정이다.
SK온은 산학협력센터에서 연구할 석박사 핵심 인재를 채용과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이미 한양대, 성균관대, 울산과학기술원과 각각 계약학과를 개설했으며 첫 졸업생을 배출할 때부터 5년 동안 채용을 진행해 채용 인원이 최대 200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K온은 2029년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대전 차세대배터리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황화물계·산화물계·고분자계 등의 고체 전해질과 리튬메탈 음극 등을 독자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고체 전해질과 양극 핵심 소재 설계·합성을 통한 전고체전지 소재 개발, 셀 수명을 늘리기 위한 리튬 보호층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해외 선진기업 투자 및 연구진과의 협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2021년 10월 전고체전지 선도기업 미국 솔리드파워(Solid Power)에 3000만달러(약 350억원)를 투자했고 이르면 2025년까지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시제품을 개발하고 2029년 본격 양산에 돌입할 방침이다.
2022년 1월에는 이승우 미국 조지아 공대 교수 연구진과 전고체 개발을 위해 손잡았고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존 굿이너프 텍사스대 교수, 황경순 텍사스대 교수, 이상복 매릴랜드대 교수, 브라이언 쉘던 브라운대 교수 등과 각각 차세대 배터리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진교원 사장은 “하이니켈 기술로 입증된 SK온의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이 대학들과의 협업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