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키징 재활용 기술 개발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2022년 12월8-9일 주최하는 패키징 교육 - 주요 소재 및 친환경 트렌드 기술 동향에서 율촌화학 권대현 팀장은 연포장재 친환경 이슈 및 개발 동향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국내 패키징산업은 2월 환경부가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기준을 개정하면서 단일소재로 구성된 유니소재에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재활용이 가능한 PP(Polypropylene) 유니소재는 배리어 BOPP(Bi-axially Oriented PP), 내충격성 등을 포함한 다기능성 CPP(Cast PP), 고내열 PP가 핵심 기술로 주목된다.
재활용 가능한 PE(Polyethylene) 유니소재는 MDO(Machine-Direction Orientation) PE필름 및 고강도 BOPE(Bi-axially Oriented PE) 제조기술, 인쇄성‧내열성 등 다기능성 PE 제조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재활용 필름 소재 중에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E필름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폐기물 자원 수거 및 선별과 재활용 원료 수급이 중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PCR(Post Consumer Recycled) & PIR(Post Industrial Recycled) 타입 MR(Mechanical Recycle) PET에 이어 MR PE 상용화가 기대되며 고품질 플레이크 확보는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패키징 교육에서는 리사이클이 가능한 유니소재 패키징, 식품포장재 개발 동향, 전분계 패키징 소재 등 국내 포장재 생산기업들이 최근 개발하고 있는 소재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최해준 연구원)
(CMRI 패키징교육-주요소재 및 친환경 트렌드·기술동향) △12월8일 □폴리올레핀계 패키징 소재 및 친환경 연구개발 동향 - 롯데케미칼 이기현 수석연구원 □연포장재의 친환경 이슈 및 개발동향 - 율촌화학 권대현 팀장 □Net Zero 달성을 위한 지속 가능 패키징 소재 - SK케미칼 윤원재 팀장 □Recycle 가능한 유니소재 포장재 - BOPE 필름 적용 및 개발 현황 - JK머티리얼즈 김여환 상무이사 △12월9일 □바이오 소재 및 친환경 소재 패키징 적용 트렌드와 향후 패키징 산업 전망 – 가톨릭대학교 유영선 교수 □전분계 패키징 소재 현황 및 개발동향 - 대상 함충현 팀장 □PET Bottle의 패키징 적용 및 특성 - 삼양패키징 남경우 팀장 □식품포장재 개발 동향 및 전망 - SPC PACK 안덕준 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