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동북아시아는 소폭 상승에 그쳤다.
아시아 PP 시장은 국제유가가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원료가격 상승과 정기보수 예고가 겹치면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폭등했다.

아시아 PP 시세는 2월1일 CFR FE Asia 기준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톤당 975달러, IPP Film은 980달러, BOPP는 985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995달러로 각각 10달러 상승했다.
CFR SE Asia는 라피아 및 인젝션 1080달러, IPP Film 및 BOPP 1090달러, 블록 코폴리머 1105달러로 각각 55달러 폭등했고, CFR S Asia도 라피아·인젝션 1130달러, BOPP 및 IPP Film 1150달러, 블록 코폴리머 1175달러로 각각 35달러 폭등했다.
국제유가가 2월1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2.84달러로 폭락했으나 프로필렌(Propylene)이 1월31일 CFR China 톤당 1020달러, FOB Korea 920달러로 50달러 급등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중동 플랜트들이 정기보수를 예고하면서 동남아, 인디아 폭등으로 이어졌다.
중동은 2월 중국에 공급하는 호모 그레이드에 대해 CFR 960-990달러, 베트남 공급물량은 CFR 1060-1100달러, 인디아 공급물량은 CFR 1110-1150달러를 제시했다.
중국 Lihe Zhixin은 PP 30만톤 플랜트를 1월19일-1월30일, Datang Duolun은 내몽골(Inner Mongolia) 소재 PP 46만톤 플랜트를 1월24일, Lihe New Material & Technology는 창저우(Cangzhou) 소재 PP 30만톤 플랜트를 1월 중순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PetroChina Daqing Petrochemical은 Daqing 소재 No.1 PP 7만톤 및 No.2 11만톤 플랜트를 6월, PetroChina Daqing Refining Chemical은 Daqing 소재 No.4, No.5 PP 30만톤 플랜트를 8월, PetroChina Sichuan Petrochemical은 Sichuan 소재 PP 45만톤 플랜트를 9월15일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반면, 베트남 Nghi Son Refinery & Petrochemical은 12월30일 정기보수 들어간 Nghi Son 소재 PP 37만톤 플랜트를 1월15일, Jinneng Science & Technology은 11월30일 정기보수 들어간 산둥성(Shangdong) 칭다오(Qingdao) 소재 PP 45만톤 플랜트를 1월 말, Hebei Haiwei Group은 11월6일 정기보수 들어간 허베이(Hebei) 소재 PP 30만톤 플랜트를 2월 초 재가동했다.
JG Summit Petrochemical은 필리핀 소재 PP 30만톤 플랜트 가동률을 1월부터 70%로, Chandra Asri Petrochemical도 인도네시아 PP 59만톤 플랜트 가동률을 1월부터 70%로 낮추었다.
미국에서는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가 1월24일 태풍으로 텍사스 라포르테(La Porte) 소재 PP 122만6000톤 플랜트 가동을 중단했고, 브라스켐(Braskem)도 1월24일 공정 이상으로 텍사스 라포르테(La Porte) 소재 PP 84만톤 플랜트 가동을 중단했다.
유럽 현물가격은 라피아 그레이드가 FD NWE 1195유로로 75유로, 코폴리머는 1250유로로 80유로 폭등했다. 미국도 라피아 기준 FOB US Gulf 1280달러로 90달러, 코폴리머는 1345달러로 90달러 폭등했다.
중국 내수가격은 Fushun Petrochemical이 8200위안으로 200위안, Jingmen Petrochemical은 7950위안으로 100위안, Shanghai Petrochemical은 8000위안으로 200위안 올렸고, 나머지는 7600-7950위안으로 인상했다.
PP(CFR FE Asia 라피아)-프로필렌(CFR China)의 스프레드는 톤당 45달러에 불과해 손익분기점 150달러를 크게 밑돌았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