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9일 (토)
2023년 2월 13·20일

 

이산화탄소(CO2) 포집‧저장(CCS) 프로젝트가 가속화되고 있다.
CCS는 블루수소와 암모니아(Ammonia)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며 LNG(액화천연가스) 프로세스 저탄소화까지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베이스 그린수소 및 암모니아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 일본 등 저가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아시아 국가들은 블루수소 및 암모니아 투자를 주목하고 있다.
블루수소와 암모니아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제조하며 공정 중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땅속에 묻어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어리퀴드, 벨기에에 수출 허브 건설
국경을 초월한 CCS 프로젝트는 유럽을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다.
2022년 하반기에 SK에너지, SK어스온,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등 국내 6사가 말레이지아 페트로나스(Petronas)와 국경 초월 CCS 프로젝트인 셰퍼드 CCS 개발 공동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가운데 세계 유수의 석유화학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벨기에 앤드워프(Antwerp)에서는 사업장 사이의 경계를 넘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Antwerp@C 프로젝트가 진전되고 있다.
에어리퀴드(Air Liquide)가 이산화탄소 수출 허브 건설, 유럽위원회는 자금지원을 맡고 있으며 2023년 최종투자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위원회는 에어리퀴드가 지역 가스 수송 인프라 전문기업 Fluxys Belgium 및 Antwerp-Bruges 항구와 함께 유럽 횡단 인프라 정비 프로그램인 Connecting Europe Facility for Energy(CEF)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수출 허브 건설에 1억4460만유로(약 2100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에어리퀴드는 Fluxys Belgium과 시설 건설 및 운영을 위한 합작기업을 설립하며 수출능력은 250만톤부터 시작해 2030년에는 1000만톤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Antwerp@C 프로젝트는 앤트워프를 흐르는 스헬더강 연안 공장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Antwerp-Bruges 항구에 모은 후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을 통해 국외 저장지로 수송하는 구상이며, 2030년까지 2017년 기준으로 1800만톤에 달했던 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반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9년 말 당시 앤트워프 항구에 바스프(BASF), 이네오스(Ineos), 보레알리스(Borealis), 에어리퀴드, 엑손모빌(ExxonMobil), 토탈에너지(Total Energies), Fluxys Belgium 등 7사가 실현 가능성을 조사하는 컨소시엄을 설립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수출 허브 구상 실현을 위한 1단계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바스프는 Antwerp-Bruges 수출 허브를 최초로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에어리퀴드와 함께 Kairos@C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앤트워프 페어분트(Verbund)의 수소 생산설비 2기, EO(Ethylene Oxide) 플랜트 2기, 암모니아 공장 2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해 에어리퀴드가 포집기술을, 바스프는 탈수기술을 통합하고 있으며 앤트워프 CCS 프로젝트의 선행모델이 되기 때문에 유럽위원회가 유럽이노베이션기금 중 3억5690만유로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스프, CCS 통해 이산화탄소 150만톤 감축
바스프는 Kairos@C 프로젝트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150만톤 이상 감축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앤트워프 페어분트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프로젝트라고 기대를 걸고 있다.
Antwerp@C 프로젝트에서는 노르웨이가 이산화탄소 저장지와 관련된 실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노르웨이 정부가 자금의 80%를 지원하는 북해 대륙붕 CCS 프로젝트인 Longship에서 이산화탄소 수송 및 저장을 맡고 있는 Northern Lights가 Antwerp@C 프로젝트에서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Northern Lights는 Equinor과 토탈이 설립한 합작기업으로 유럽연합(EU)이 기후정책 목표를 달성할 때 도움이 되도록 주요 국경을 초월하는 인프라 프로젝트(공통이익 프로젝트)에 지정돼 있으며 CEF 지원금 신청권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중반까지 1차 개발을 마치고 150만톤의 이산화탄소 저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노르웨이 국내 발전소와 시멘트 공장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2025년 초까지 세계 최대 비료 생산기업인 Yara의 네덜란드 공장에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예정이며 유럽 산업부문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저장능력을 350만톤 추가해 550만톤 체제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롯데·GS, 페트로나스와 공동개발
SK에너지, SK어스온,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와 페트로나스는 한국·말레이지아의 탄소 포집·운송·저장사업인 셰퍼드 CCS 프로젝트(Shepherd CCS Project) 개발 공동협력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국내 허브에 집결한 후 말레이지아로 이송·저장하는 사업으로, 참여기업들은 말레이지아 현지 저장소 탐색부터 국내 탄소의 포집·이송·저장에 이르는 CCS 밸류체인의 전주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프로젝트 사업개발을 주관하기로 했으며 탄소 포집은 SK에너지·롯데케미칼·GS에너지, 이송은 삼성중공업, 저장소 탐색 및 선정, 운영은 SK어스온과 페트로나스가 담당할 예정이다.
참여기업들은 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사업성을 검증한 뒤 본격적인 사업에 나설 방침이다.
아시아 최초의 CCS 허브 프로젝트로 밸류체인 전체를 개발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허브를 통해 관련기업들이 배출한 탄소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어 처리·이송 과정에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탄소관리에도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국내기업들의 참여를 통한 사업 확장을 모색하고 국내 탄소 저장공간 부족 문제를 페트로나스와 협력해 안정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SK에너지 에너지넷제로실 홍정의 실장은 “CCS는 글로벌 탄소중립을 위해 필요한 탈탄소 방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포집·이송·저장 등 전체 밸류체인에 대한 국내외 참여기업들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INPEX, 일본‧UAE 실증에 동남아와도 협력
일본에서는 INPEX가 니가타현(Niigata) 가시와자키시(Kashiwazaki)에서 실증실험에 착수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자회사 iXs LNG 인근에서 CCS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FS)에 돌입했다.
아랍에미레이트(UAE), 타이에서도 CCS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압입량 기준 250만톤 이상의 CCS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포집‧이용‧저장(CCUS) 분야의 리더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NPEX는 2030년까지 추진하는 장기전략에서 수소 및 암모니아 프로젝트를 3건 이상 사업화함으로서 공급능력을 10만톤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어 CCS 사업화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니가타현 가시와자키시에서 블루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과 이용을 위한 일관 실증시험을 시작했다. 니가타 현내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원료로 수소와 암모니아를 제조하고 가시와자키에서 압입해 저장하는 내용이며, 천연가스 증진회수(EGR) 효과를 확인했고 2030년 상업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니가타현 기타칸바라군(Kitakambara)에서는 미츠비시가스케미칼(Mitsubishi Gas Chemical),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와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할 가능성을 모색하는 공동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해외 프로젝트 역시 적극화하고 있다.
아랍에미레이트에서 ADNOC, IHI 등과 블루 암모니아 서플라이체인 실증에 착수해 암모니아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아부다비(Abu Dhabi) 육상 유전에 압입하고 있으며 CCS 능력은 중장기적으로 80만톤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타이에서는 JGC, 현지 국영 자원개발기업인 PTTEP 등과 CCS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현지 발전소나 산업 현장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고갈 유전 및 가스전에 저장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22년 9월 현지 국영 전력기업과 아바디(Abadi) LNG에서 수소‧암모니아, CCS 관련 공동조사에 합의했다.
INPEX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회사 iXs LNG를 통해 LNG 890만톤을 가동하고 있으며 iXs LNG 사업장 인근 광구를 프랑스 토탈에너지, 오스트레일리아 우드사이드(Woodside Energy) 등과 공동으로 낙찰받아 CCS 후보지로서 평가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Xs LNG 사업장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예정이나 세계 최대 CCS 프로젝트로 확대해 현지 지방정부 등이 구상하고 있는 CCUS 허브에 기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강윤화 책임기자: kyh@chemlocus.com)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환경] 유럽, 수소·CCS로 탄소중립 달성 2025-09-05  
[엔지니어링] 타이, 2035년 CCS 허브 상용화 2025-08-22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 CCS 수주 호조 “기대” 2025-06-20  
[환경화학] SK이노베이션, 국경통과 CCS 도전 2025-06-17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2025-10-02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