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900달러를 돌파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 초반으로 하락했으나 한국·중국 스팀 크래커들이 가동률을 감축하면서 또 급등했다.

에틸렌 시세는 2월17일 CFR NE Asia가 톤당 935달러로 60달러, CFR SE Asia도 890달러로 55달러 급등했다. FOB Korea는 900달러로 25달러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2월17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3.00달러로 하락하고 나프타(Naphtha)는 C&F Japan 톤당 729달러로 3달러 상승에 그쳤으나 동북아시아 스팀 크래커들이 가동을 중단하거나 가동률 감축을 계속하면서 급등을 유발했다.
타이완 CPC는 1월 말 정기보수 들어간 가오슝(Kaohsiung) 소재 No.3 에틸렌 72만톤, 프로필렌(Propylene) 37만톤 크래커를 최근 재가동했으나, 포모사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2022년 7월14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2 에틸렌 103만5000톤, 프로필렌 52만톤 크래커를 2023년 2분기까지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마일랴오 소재 No.3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 60만톤 크래커는 2023년 8-9월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여천NCC가 2022년 가을 정기보수에 들어간 여수 소재 에틸렌 47만톤 크래커 재가동을 연기했다. 당초 2월 재가동할 예정이었으나 3월로 연기했다.
중국에서도 Zhejiang Petroleum & Chemical이 저장성(Zhejiang) 저우산(Zhoushan) 소재 No.2 에틸렌 140만톤, 프로필렌 70만톤 크래커를 최근 정기보수에 들어갔고, 필리핀 JG Summit Olefins은 바탕가스(Batangas) 소재 에틸렌 48만톤, 프로필렌 24만톤 크래커를 정기보수k고 있다.
사우디에서도 Sadara Chemical은 알주베일(Al Jubail) 소재 에틸렌 150만톤, 프로필렌 40만톤 크래커를 2월 초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미국에서는 Motiva Chemicals이 텍사스 포트아더(Port Arthur) 소재 에틸렌 70만톤, 프로필렌 34만톤 크래커를 최근 공정 이상으로 가동중단했다. Shell Chemicals는 펜실베이니아의 Potter Township 소재 에틸렌 150만톤 크래커를 2월13일 가동중단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