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은 2024년부터 민간 건축물을 대상으로도 의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2023년 3월31일 주최한 제10회 건축용 단열재 정책 및 기술세미나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현중 수석연구원은 저탄소·제로에너지 관련 국가 R&D(연구개발) 과제 최근 동향 및 단열기술 개발 현황 발표를 통해 “민간 건축물의 제로에너지화를
위한 기술의 패키지화 및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2조(정의)제4호)이다.
정부는 신축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핵심 이행방안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 확산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2024년부터 30세 이상 민영 공동주택(아파트 등)에도 제로에너지 건축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 건축물과 그린 리모델링을 민간에 보급 확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경제성으로 파악된다.
특히, 대규모 공동주택 리모델링과 달리 노후 소규모 단독주택은 경제성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현중 수석연구원은 “자재의 성능, 가격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고 적용기술의 적정 비용을 산정한 후 기술 적용에 따른 효과를 비용으로 환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설계자‧시공자‧건축주 등에게 제공해 효율적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과제별로 구축되고 있는 플랫폼 통합에 대한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육도경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