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대표 박경일)가 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에 도전한다.
SK에코플랜트와 현대엔지니어링, 초소형 모듈원전(MMR) 전문기업 미국 USNC는 4월20일 수소 마이크로 허브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수소 마이크로 허브는 MMR에서 발생하는 전기와 고온 증기에 고체산화물 수전해기(SOEC) 고온 수전해 공정을 적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설비이며 원자력을 활용해 만든 전기로 물을 분해한 뒤 수소를 뽑아내 탄소배출이 없는 수소 생산방식이다.
3사는 앞으로 5년 동안 공동으로 MMR과 SOEC를 연계 통합한 플랜트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수행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소 생산체계 구축을 검토하는 한편 수소 생산‧공급 사업을 위한 연구개발과 실증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MMR 관련 발전 플랜트 보조설비(BOP)와 설계·조달·시공(EPC) 업무를 총괄하고, USNC는 MMR 설계·제작·공급을 수행한다.
SK에코플랜트는 블룸에너지의 SOEC를 통해 원전 베이스 수전해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성하고 수소 생산 설비를 공급할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과 USNC가 캐나다 쵸크리버(Chalk River)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고온가스로 베이스 4세대 원자로를 적용한 MMR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상용화된 경수로 베이스 원전보다 높은 온도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어 SOEC를 활용하면 적은 에너지로도 수소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