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 연구소 및 대학 전문가들이 정밀화학 분야 기술협력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14일 오전 서울 로얄호텔에서 한국‧일본 기술 공동연구 협력사업 발족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한국 측에서 장영진 산업부 1차관과 함께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광기술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등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신슈(Shinshu)대학교, 규슈(Kyushu)대학교, 홋카이도(Hokkaido)대학교, 오사카(Osaka)공립대학교, 오사카대학교, 니가타(Niigata)대학교, 오사카유기화학(Osaka Organic Chemical), 도쿄(Tokyo)이과대학 등의 전문가들이 자리했다.
산업부는 우수한 정밀화학 기술을 가진 일본 전문가와 함께 기술협력을 통해 양국 정밀화학 분야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측의 잠정 전략 과제는 핵심소재,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 분야에 집중돼 있으며 산업부는 질화물계 고방열 소재, 바이오매스 베이스 고성능 점·접착제, 반도체 패키징용 고온 산화방지제 등 9개 과제를 화학산업포럼을 통해 선정했고 추가 수요 조사를 통해 최종 과제를 확정할 방침이다.
9개 과제는 글로벌 시장이 약 160조원이며 국내 매출은 약 9조4000억원으로 점유율 5.7%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부는 한국‧일본 기술협력 선언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분야에서 핵심소재 기술 개발이 추진되면 2031년에는 약 350조원의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매출이 52조원으로 급증하고 점유율은 1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과 일본 총리의 한국 답방, 화이트리스트 원상회복 절차 진행 등 양국의 신뢰가 돈독해지는 상황”이라며 “양국 전문가들의 정밀화학 분야 기술 협력 선언은 양국의 새로운 신뢰를 방증하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