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순환경제 확산을 위한 석유화학 재활용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21일 오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산업별 9대 순환경제 선도프로젝트(CE 9: Circular Economy 9)를 골자로 한 신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순환경제는 소비재를 사용 후 폐기하는 기존 선형경제와 비교했을 때 자원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경재체제를 말하는 것으로 생산 시에는 자원을 적게 사용하고 사용한 자원은 오래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자원을 재생하는 것이 핵심이다.
산업부가 CE 9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신성장 전략에는 석유화학, 철강, 비철금속, 배터리,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 9개 업종이 포함됐다.
석유화학 산업계에서는 플래스틱 폐자원 확보를 위한 인프라 확대 등 열분해유 생산을 확대하고 폐플래스틱 해중합·플라스마 열분해 등 기술 개발을 통해 고급 원료화를 목표로 한다.
철강·비철금속은 철 스크랩(고철) 활용을 극대화하고 희소금속 28종의 전 과정 수급을 파악해 재자원화한다.
전기자동차(EV)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도 재사용·재활용 기반을 만든다. 재사용 배터리 안전성 검사 제도와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 주기 이력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Lithium)·니켈(Nickel) 등을 회수·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에서도 순환경제의 새 성장동력을 찾을 방침이다.
산업부는 순환경제를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자원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국내기업의 탄소중립 이행과 핵심 자원 국내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 전반에 걸친 순환경제를 목표로 한 관계 부처 참여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국내외 재생원료 공급망 구축을 지원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CE9 프로젝트가 산업 부문의 순환경제 전환을 본격화하는 출발점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관 모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만큼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액센추어(Accenture)에 따르면, 순환경제 시장은 2030년까지 4조5000억달러(약 580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