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PE(High-Density Polyethylene)는 동북아 일부 그레이드만 상승했다.
아시아 HDPE 시장은 국제유가가 70달러 후반으로 폭등했으나 원료가격이 계속 하락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HDPE 시세는 6월21일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 기준 CFR FE Asia가 톤당 905달러, CFR SE Asia는 945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블로우몰딩(Blow-Molding)도 FEA가 910달러, SEA는 950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필름(Film)은 FEA가 935달러로 10달러 상승한 반면 SEA는 960달러로 10달러 하락했고, 얀(Yarn)은 FEA가 925달러로 10달러 올랐으나 SEA는 96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CFR S Asia는 인젝션 955달러, 블로우몰딩 965달러, 필름 960달러, 얀 955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고, 유럽도 6월23일 인젝션이 FD NWE 톤당 950유로, 블로우몰딩은 1000유로, 필름은 1050유로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유가가 6월21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7.12달러로 폭등했으나 원료가격이 하락세를 계속함으로써 일부는 상승했으나 대부분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형성했다.
에틸렌(Ethylene)은 6월20일 CFR NE Asia 715달러로 10달러, CFR SE Asia는 730달러로 15달러 하락했고, HDPE(필름)-에틸렌(CFR NE Aia) 스프레드는 톤당 220달러로 늘어나면서 손익분기점 150달러를 크게 넘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케미칼은 HDPE의 수익성이 개선됨에 따라 3개월 이상 가동을 중단한 HDPE 55만톤 플랜트를 6월 말 재가동할 예정이다.
그러나 롯데티탄(Lotte Chemical Titan)은 마진 악화에 따라 No.1 HDPE 22만톤, No.2 HDPE 11만5000톤 플랜트의 가동률을 75-80%로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내수가격은 Daqing Petrochemical이 톤당 9200위안,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은 9100위안, Yanshan Petrochemical은 8600위안, Yangtze Petrochemical은 8700위안을 유지했다.
7월 중국에 공급하는 HDPE 필름 그레이드는 중동기업이 CFR 920-950달러를 제시했다. 베트남에는 한국기업이 CFR 940달러를, 중동기업이 CFR 980달러를 요구했다.
Lianyungang Petrochemical은 쑤웨이(Xuwei) 소재 No.1 HDPE 40만톤 플랜트를 6월16일, Shanghai Secco Petrochemical은 HDPE 30만톤 플랜트를 6월23일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ONGC Petro Additions(OPAL)은 인디아 구자라트(Gujarat) 다헤(Dahej) 소재 HDPE 34만톤, LLDPE 72만톤 스윙 플랜트를 6월25일부터 약 10일간 일정으로 정기보수하고 있다.
Sabic의 자회사 Petrokemya는 5월 말 정기보수에 들어간 HDPE/LLDPE(Linear Low-Density PE) 40만톤 병산 플랜트를 6월 중순 재가동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