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반등에 성공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대 중반으로 상승한 가운데 나프타(Naphtha)가 폭등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에틸렌 시세는 6월30일 CFR NE Asia가 톤당 750달러로 35달러, CFR SE Asia는 750달러로 20달러 상승했다. FOB Korea도 730달러로 15달러 올랐다.
유럽 현물가격은 FD NWE 톤당 640유로로 10유로 상승했고, 미국은 FOB US Gulf 파운드당 16.25센트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유가가 6월30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4.90달러로 상승한 가운데 나프타가 C&F Japan 톤당 534달러로 34달러 폭등하면서 에틸렌 상승세를 유발했다.
여천NCC는 6월23일 정전으로 가동을 중단한 여수 소재 No.3 에틸렌 47만톤, 프로필렌(Propylene) 27만톤 크래커를 최근 재가동했고, HD현대케미칼(Hyundai Chemical)은 1월31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대산 소재 에틸렌 85만톤, 프로필렌 50만톤 크래커를 6월 말 재가동했다.
미쓰이케미칼(Mitsui Chemicals)은 6월17일 기술적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치바(Chiba) 소재 에틸렌 61만2000톤, 프로필렌 33만톤 크래커를 최근 재가동했고, 필리핀 JG Summit Olefins는 2월20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바탕가스(Batangas) 소재 에틸렌 48만톤 크래커를 6월 말 재가동했다.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은 6월13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간쑤성(Gansu) 소재 No.1 에틸렌 24만톤, 프로필렌 12만5000톤 크래커를 8월2일 재가동할 예정이다.
PetroChina Daqing Petrochemical은 헤이룽장성(Heilongjiang) 소재 에틸렌 33만톤, 프로필렌 16만5000톤 크래커를 최근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No.3 에틸렌 60만톤, 프로필렌 33만톤 크래커도 정기보수하고 있다.
Sinopec Maoming Petrochemical은 6월 들어갈 예정이던 광동성(Guangdong) 소재 에틸렌 38만톤, 프로필렌 20만톤 크래커의 정기보수 일정을 무기한 연기했다.
포모사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타이완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3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 60만톤 크래커를 8-9월, PTT Global Chemical은 타이 맵타풋(Map Ta Phut) 소재 No.1 에틸렌 46만1000톤 크래커를 10-11월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