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변동이 없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 후반으로 초강세를 계속하고 있음에도 중국이 103만톤을 재가동하면서 보합세를 형성했다.

에틸렌 시세는 8월11일 CFR NE Asia가 톤당 810달러, CFR SE Asia 역시 810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FOB Korea도 79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반면, 유럽 현물가격은 FD NWE 톤당 570유로로 5유로 하락했고, 미국은 FOB US Gulf 파운드당 17.25센트로 0.5센트 떨어졌다.
국제유가가 8월11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6.81달러로 상승하고 나프타(Naphtha)도 C&F Japan 톤당 668달러로 12달러 올랐으나 중국이 103만톤을 재가동하면서 박스권에 갇히며 보합세를 형성했다.
PetroChina Daqing Petrochemical은 6월 말 정기보수dp 들어간 헤이룽장성(Heilongjiang) 소재 No.1 에틸렌 33만톤 크래커를 최근 재가동했다.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eh 6월13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간쑤성(Gansu) 소재 No.1 에틸렌 24만톤, 프로필렌(Propylene) 12만5000톤 크래커를, 6월 정기보수에 들어간 No.2 에틸렌 46만톤, 프로필렌 23만톤 크래커도 최근 재가동했다.
포모사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8월 초 정기보수에 들어간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3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 60만톤 크래커를 9월 말 재가동할 예정이다.
타이완 국영 CPC는 가오슝(Kaohsiung) 소재 No.4 에틸렌 38만5000톤 크래커를 11월 초 정기보수에 들어갈 예정이다. No.3 에틸렌 72만톤, 프로필렌 37만톤 크래커는 2024년 1월 하순/2월 초 정기보수할 계획이다.
일본 미쓰이케미칼(Mitsui Chemicals)은 7월11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치바(Chiba) 소재 에틸렌 61만2000톤, 프로필렌 33만톤 크래커를 8월4일 재가동했다.
PCS(Petrochemical Corporation of Singapore)는 No.2 에틸렌 62만5000톤, 프로필렌 35만톤 크래커의 가동률을 90%로 낮춰 가동하고 있다. 7월13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주롱섬(Jurong Island) 소재 No.1 에틸렌 51만5000톤, 프로필렌 26만톤 크래커는 재가동을 8월 중순에서 9월 말로 연기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