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이 미래 신성장 플랫폼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코어(Core) 사업 강화, 친환경 포트폴리오 확대, 미래 신 성장동력 확보 등을 위한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기존제품 대비 더 가볍고 인장강도가 높은 초경량 장갑용 NB(Nitrile Butadiene)-라텍스(Latex) 개발에 성공했고 산업용 장갑 소재의 품질을 향상해 고부가가치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성장에 맞추어 CNT(Carbon Nano Tube) 다변화, 품질 향상 등으로 CNT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CNT는 기존 소재 대비 높은 전도도 구현으로 배터리 수명과 용량을 늘릴 수 있어 2차전지 핵심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금호석유화학은 2020년 LiB(리튬이온전지)용 CNT 상업화를 이루어냈다.
합성수지 부문에서는 자사의 기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등과 혼합할 수 있는 EP(엔지니어링 플래스틱)를 중심으로 고기능·경량화 소재가 필요한 전기자동차(EV)용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버려진 PS의 열분해로 제조한 재활용 스타이렌(RSM)을 타이어용 고기능성 합성고무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에 사용하는 Eco-SSBR 사업 및 음료수 용기 등 일회용품 재활용을 통해 만든 PCR(Post-Consumer Recycled) PS 관련 연구개발과 활용 범위 확대 역시 추진하고 있다.
금호폴리켐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신규 부품 소재용 개발을 진행하고 경량화·고절연 EPDM 등 고부가제품군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TPV(Thermoplastic Vulcanizate)는 물성 개선을 통해 친환경 자동차 소재로 개발하고 있다.
금호P&B화학은 수소화 반응을 통해 기존 BPA(Bisphenol-A)보다 내열성, 내후성, 내황변성 등을 개선한 HBPA(Hydrogenated Bisphenol-A) 사업을 시작하고 HBPA를 활용한 에폭시(Epoxy) 부문 포트폴리오 역시 확대할 계획이다.
금호미쓰이화학은 2024년 바이오 플래스틱 인증 획득을 위해 수요기업과 공동으로 PU(Polyurethane)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김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