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빨대는 PFAS(Polyfluoroalkyl Substance)를 함유해 환경에 유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벨기에 연구진은 자국에서 유통되는 39개 친환경 빨대 브랜드를 대상으로 PFAS 함유 여부를 검사했으며 2차례에 걸쳐 진행된 분석에서 69%에 해당하는 27개 브랜드에서 PFAS를 검출했다.
PFAS는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며 인체, 동식물, 환경에 유해해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규제를 추진하고 있다.
벨기에 연구진이 확인한 PFAS는 모두 18종이었으며, 특히 종이빨대는 20개 가운데 무려 18개(90%)에서 PFAS가 검출됐다.
대나무는 5개 중 4개(80%), 플래스틱 빨대는 4개 중 3개(75%)에서 PFAS가 검출됐으며 유리빨대는 5개 중 2개(40%)에서 나온 반면, 스테인리스 스틸제 빨대는 PFAS가 아예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PFAS는 2020년 사용이 금지된 PFOA(Perfluorooctanoic Acid)가 가장 많았고 TFA(Trifluoroacetic Acid)과 TFMS(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등 물에 잘 녹는 초단쇄 PFAS로 분류되는 물질도 있었다.
종이빨대의 PFAS 검출 비율이 높은 것은 방수코팅 등에 사용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만, 연구진은 빨대 속 PFAS가 음료 등에 실제로 녹아 나오는지는 다루지 않았고 PFAS의 체내 축적 정도가 낮고 대다수 사람은 가끔만 빨대를 사용하는 만큼 빨대의 인체 유해도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벨기에 앤트워프(Antwerp)대학 소속 환경과학자 티모 그로펜 교수는 “미국에서 널리 쓰이는 식물 성분 빨대에서 PFAS가 검출된 것을 계기로 벨기에 슈퍼마켓과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빨대의 실상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종이나 대나무 등 식물성 소재로 만든 빨대는 종종 플래스틱 빨대보다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이라고 홍보되나 PFAS가 있기 때문에 광고가 진실은 아닐 수 있다”며 “소량의 PFAS라도 이미 체내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에 따른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에서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는 2번째로 진행된 빨대 속 PFAS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식품첨가물과 오염물(Food Additives & Contaminants) 최신호에 게재됐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