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소닉(Panasonic)이 전고체전지 개발d,f 서두르고 있다.
파나소닉은 높은 안전성을 갖춘 세라믹계 고체 전해질을 개발한데 이어 최근 전고체전지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LiB(리튬이온전지)를 전기자동차(EV)용으로 주력 공급하고 있는 가운데 LiB를 능가하는 높은 안전성과 고용량, 급속 충전을 실현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를 상용화해 공장 자동화(FA) 등 전기자동차보다 크기가 작은 기기용 수요는 물론 최종적으로는 전기자동차용까지 개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고체전지는 맥셀(Maxell)이 2023년 세라믹 패키지형으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FDK, TDK, 무라타(Murata), NGK 등 일본기업들이 개발을 주도하고 공장 자동화 장치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와 같이 대형 기기는 여전히 LiB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파나소닉은 빠르면서도 안전하게 고출력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전고체전지의 특성을 살린다면 전기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LiB는 희소금속 사용량을 줄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는 니켈, 망간, 코발트를 양극에 사용한 3원계 LiB를 공급하고 있으나 자원 고갈 및 조달난 리스크가 있어 최대한 이른 시기에 코발트 사용량을 제로(0)화하고 니켈 사용비중을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있다.
인산철계나 나트륨이온전지도 함께 개발하고 있으나 LiB를 주력 공급하고 전고체전지로 용도를 확장하는 전략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