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에 밀려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3사 합산 점유율은 2021년 30.4%에서 2022년 24.1%, 2023년 상반기 23.8%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CATL과 비야디(BYD)의 합산 점유율이 41.6%, 50.5%, 52.5%로 오르며 절반을 넘어섰다.
특히, CATL은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동안 1위였던 LG에너지솔루션은 이제 비야디와 2위 자리를 두고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제외 시장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점유율이 2021년 35.4%, 2022년 30.0%, 2023년 상반기 28.7%로 하락세이고 CATL은 13.9%, 22.5%, 27.2%로 확대하며 LG에너지솔루션을 맹추격하고 있다.
국내 3사는 중국 제외 시장에서도 합산 점유율이 2021년 55.7%, 2022년 54.1%, 2023년 상반기 48.4%로 하락했다. 중국 전기자동차(EV) 판매량이 급증하며 중국산 배터리 점유율도 함께 상승해 밀려난 것으로 파악된다.
김광주 SNE리서치 대표는 “국내 3사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으나 유럽, 북미지역 증설을 바탕으로 50% 이상으로 반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2025년까지 미국에 총 40조원을 투자해 공장 신증설 투자를 진행하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 제도를 활용해 2025년까지 19조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광주 대표는 “중국 외 지역에서는 국내 3사 모두 톱6에 안착했다”며 “지역별 톱6 의존도는 계속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