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에틸렌 생산량 46만7800톤 … 합성수지 중심으로 생산량 급감
화학뉴스 2023.10.23
일본은 에틸렌(Ethylene) 가동률이 회복됐으나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은 일제히 급감했다.
일본은 2023년 8월 에틸렌 생산량이 46만7800톤으로 전년동월대비 5.0% 감소했으며 스팀 크래커 가동률은 79.8%로 3개월 연속 70%대를 유지했다.
에틸렌 가동률은 6월 77.1%, 7월 76.5%에 비해서는 소폭 회복됐으나 석유화학제품 생산량 증가 전환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LDPE(Low-Density Polyethylene)는 생산량이 9만1900톤으로 30.0% 격감했고 내수 출하량은 개인소비 부진을 타고 필름용 수요가 급감한 영향으로 8만3600톤으로 4.0% 감소했다.
HDPE(High-Density PE)는 생산량이 6만3200톤으로 6.0% 감소했다. 내수 출하량 역시 중공성형용 외에는 부진이 여전해 4만3900톤으로 6.0%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PP(Polypropylene)는 생산량이 17만4800톤으로 15.0% 감소했으며 내수 출하량은 15만3800톤으로 2.0% 증가에 그쳤다.
PS(Polystyrene)는 모든 용도에서 수요 부진이 이어지며 생산량이 4만7200톤으로 20.0% 격감하고 내수 소비량은 3만9900톤으로 7.0% 감소했다.
LDPE와 HDPE는 수출이 각각 8900톤으로 46.0%, 6200톤으로 24.0% 급증하는 등 호조를 나타냈으나 PP 및 PS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요 용도 수요 부진이 여전해 PP는 수출량이 8600톤으로 7.0% 감소했고 PS는 2700톤으로 24.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수지 외에는 SM(Styrene Monomer), 자일렌(Xylene), 벤젠(Benzene), PVC(Polyvinyl Chloride), VCM(Vinyl Chloride Monomer) 등 5개를 제외한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이 일제히 감소했다.
MMA(Methyl Methacrylate) 생산량이 2만2000톤으로 34.0%, BR(Butadiene Rubber)은 1만4000톤으로 49.0% 급감했으며 증가한 5개 석유화학제품도 13만3000톤으로 14.0% 늘어난 SM과 43만6300톤으로 11.0% 증가한 자일렌 외에는 1-3% 증가에 그쳤다. (K)
표, 그래프: <일본의 스팀크래커 가동률 변화>, <일본 석유화학 생산량(2023.8)>
<화학저널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