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렌(Propylene)은 변동이 없었다.
아시아 프로필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92달러대로 폭등했으나 중국의 올레핀 컨퍼런스로 거래가 잠잠하며 보합세를 형성했다.

프로필렌 시세는 10월20일 FOB Korea가 톤당 815달러, CFR SE Asia는 80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중화권도 CFR China가 850달러, CFR Taiwan은 855달러로 보합세에 머물렀다.
유럽은 FD NWE 톤당 825유로로 20유로 상승했고, 미국은 Polymer 그레이드가 파운드당 46.25센트로 4센트 상승했으나 Refinery 그레이드는 10.25센트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유가가 10월20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92.16달러로 폭등하고 나프타(Naphtha)도 C&F Japan 톤당 689달러로 30달러 폭등했으나 중국의 올레핀 컨퍼런스 참여로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보합세를 형성했다.
태광산업은 울산 소재 프로필렌 생산능력 30만톤의 PDH(Propane Dehydrogenation) 플랜트를 10월13일부터 약 25일간 일정으로 정기보수하고 있다.
Jiangsu Sailboat Petrochemical은 기술적 문제를 이유로 장쑤성(Jiangsu) 롄윈강(Lianyungang) 소재 PDH 70만톤 플랜트를 10월13일부터 약 21일간 가동을 중단하고, Oriental Energy는 광동성(Guangdong) 마오밍(Maoming) 소재 프로필렌 60만톤 플랜트를 10월 초부터 가동률을 낮추었다.
Zibo Haiyi Fine Chemical은 9월28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산둥성(Shandong) 지보(Zibo) 소재 PDH 25만톤 플랜트를 최근 재가동했고, 일본 도소(Tosoh)는 8월28일 기술적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요카이치(Yokkaichi) 소재 프로필렌 31만5000톤 크래커를 9월 하순 재가동 예정이었으나 10월12일 가동을 재개했다.
타이완 포모사플래스틱(Formosa Plastics)은 저장성(Zhejiang) 닝보(Ningbo) 소재 PDH 60만톤 플랜트를 11월 신규 가동할 예정이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