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대란이 재발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최근 요소 수출 통관을 돌연 보류한 가운데 중국 비료 메이저들이 2024년도 수출 총량 자율 제한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계 분석가 푸야난은 온라인 플랫폼 중국화학비료망을 통해 “11월24일 회의에서 CNAMPGC과 Sinochem 등 주요 요소 비축·무역기업 15곳이 2024년 수출 총량 94만4000톤을 초과하지 않는 것에 동의했으며 요소 수출 자율 제한 협의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0월 중국의 요소 수출량은 339만톤으로 한국은 산업용 요소의 91.8%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4년 1분기까지 요소 수출을 불허할 방침이며 현재 일부 항구에서 수출 증빙서류가 있어도 수출을 할 수 없고 화물이 항구에 쌓여있거나 회수되는 사례까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해관총서는 11월30일 돌연 현지기업이 한국 메이저에 수출할 예정이던 산업용 요소 통관을 보류했다. 현지 요소 수급을 우선 해결해야 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계열 경제매체 신화재경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11월17일 중국질소비료협회가 개최한 가스질소비료 생산기업 천연가스 수급 매칭 회의에서 식량 안보와 2024년 봄 경작을 위한 비료 비축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한 비료 생산기업들은 중국 시장의 공급 보장과 가격 안정을 위해 생산 확대, 내수가격 인하 및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자발적 수출 중단 등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신화재경은 선물시장 전문매체 기화일보의 보도를 인용해 “요소 수출은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11월부터 검사·검역 시간이 60일로 연장됐고 2024년 수출 또한 할당제도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화재경 관계자는 “2024년 봄 내수용 요소 공급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수출이 다시 풀리기는 매우 어렵고 글로벌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해 수출 이윤도 호전되지 않았다”며 “중국 무역기업도 수출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