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상승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78달러대를 형성한 가운데 크래커 가동률 감소와 역외물량 도착 지연으로 공급이 제한되며 상승했다.

에틸렌 시세는 1월12일 CFR NE Asia가 톤당 870달러로 10달러, CFR SE Asia는 870달러로 20달러 상승했다. FOB Korea는 850달러로 5달러 올랐다.
유럽은 FD NWE 톤당 705유로로 20유로 상승했고, 미국도 FOB US Gulf 파운드당 19.25센트로 0.5센트 올랐다.
국제유가가 1월12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8.29달러를 형성하고 나프타(Naphtha)는 C&F Japan 톤당 678달러로 20달러 상승한 가운데 크래커 가동률 감소와 역외물량 도착 지연으로 2월 물량 공급이 제한되며 상승세로 이어졌다. 설 연휴를 앞두고 중국 바이어들의 재고보충 수요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PetroChina Jilin Petrochemical은 지린성(Jilin) 소재 에틸렌 15만톤, 프로필렌 8만톤 크래커를 8-10월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Sinopec Guangzhou Petrochemical은 10월말 정기보수 들어간 광둥성(Guangdong) 광저우(Guangzhou) 소재 에틸렌 26만톤, 프로필렌 15만톤 크래커를 1월초 재가동했다.
타이완 CPC는 가오슝(Kaohsiung) 소재 No.3 에틸렌 72만톤, 프로필렌 37만톤 크래커를 1월 중순 정기보수 들어갈 예정이다. 11월 중순 정기보수 들어간 가오슝 소재 No.4 에틸렌 38만5000톤 크래커를 1월초 재가동했다. 포모사 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2 에틸렌 103만5000톤, 프로필렌 52만톤 크래커를 1월 중순 정기보수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8월2일 정기보수 들어간 No.3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 60만톤 크래커의 재가동을 기존 1월 중순에서 무기한 연기했다.
이란 Jam Petrochemical은 11월초 정기보수 들어간 부시르(Bushehr) 아살루예(Asaluyeh) 소재 에틸렌 132만톤, 프로필렌 30만5000톤 르캐러를 1월초 재가동했다.
LyondellBasell은 미국 텍사스(Texas) 코퍼스크리스티(Corpus Christi) 소재 에틸렌 114만톤. 프로필렌 25만톤 크래커를 1월초 공정과정 이상으로 가동 중단했다.
National Oil은 리비야(Libya) 라스라누프(Ras Lanuf) 소재 에틸렌 36만톤, 프로필렌 18만톤 크래커를 이번주 정기보수 들어갔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