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변동이 없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82달러대로 폭등한 가운데 긴 연휴로 인해 거래가 줄어들며 보합세에 그쳤다.

에틸렌 시세는 2월9일 CFR NE Asia가 톤당 940달러, CFR SE Asia는 95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FOB Korea는 910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유럽은 FD NWE 톤당 810유로로 95유로 폭등했고, 미국은 FOB US Gulf 파운드당 20.25센트로 0.5센트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2월9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2.19.달러로 5달러 가까이 상승하고 나프타(Naphtha)도 C&F Japan 톤당 693달러로 30달러 폭등한 가운데 긴 설 연휴(Lunar New Year holiday)로 인해 시장이 휴장하며 거래가 잠잠했다. 다운스트림 부진으로 바이어들은 연휴 이후 시장 동향을 예상하며 관망세를 보였다.
LG화학은 여수 소재 에틸렌 90만톤, 프로필렌(Propylene) 45만톤 크래커를 2월 감축 가동할 예정이다.
중국 BASF-YPC는 1월말 정기보수 들어간 장쑤성(Jiangsu) 난징(Nanjing) 소재 에틸렌 75만톤, 프로필렌 40만톤 크래커를 이번주 재가동했다.
인도네시아 PT Chandra Asri는 지난주 초 운영상의 문제로 가동 중단한 칠레곤(Cilegon) 소재 에틸렌 90만톤, 프로필렌 49만톤 크래커를 재가동했다.
Saudi Yanbu Petrochemical Company는 얀부(Yanbu) 소재 No.1 에틸렌 92만톤 크래커를 이번주 정기보수 들어갔다.
미국 Chevron Phillips Chemical은 텍사스(Texas) 세다베이유(Cedar Bayou) 소재 에틸렌 172만5000톤, 프로필렌 4만5000톤 크래커를 압축기(Compressor) 고장으로 비정기보수에 들어갔다.
미츠비시화학(Mitsubishi Chemical)은 가시마 정(Kashima) 소재 에틸렌 53만9000톤, 프로필렌 27만톤 크래커를 5월 정기보수 들어갈 예정이다. Maruzen Petrochemical은 치바 시(Chiba) 소재 에틸렌 52만5000톤, 프로필렌 28만톤 크래커를 5-7월 정기보수 할 예정이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