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Silicone) 음극재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LiB(리튬이온전지)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계 비중이 2030년 7%, 2035년 10%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리콘 음극재 사용량은 2030년 17만5000톤, 2035년 28만5000톤으로 늘어나고 시장규모는 2023년 6억달러(약 9000억원)에서 2025년 19억달러(약 2조5000억원), 2030년 43억달러(약 5조7000억원), 2035년 66억달러(약 8조8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리콘 음극재 사용량은 2023년 1만여톤으로 전체 음극재 103만4000톤 가운데 1% 수준이었으며 현재는 전기자동차(EV)·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가격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저가인 흑연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연장 및 급속충전 성능 향상을 추진하는 완성차기업과 배터리 생산기업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도 2024년부터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판단된다.
SK, LG, 포스코, 롯데 등 메이저들이 실리콘 음극재 소재를 개발해 조만간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흑연 음극재 대비 에너지밀도를 4-10배 높이면서 충전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스타트업이 증가했으며 기존 흑연 음극재 시장을 장악한 중국기업들도 실리콘계 개발과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 음극재 가격은 2020년 1킬로그램당 천연흑연 6.4달러, 인조흑연 8달러, 실리콘계 70달러에서 2023년 천연흑연 5.8달러, 인조흑연 4.8달러, 실리콘계 50-60달러 수준으로 하락했다.
특히, 실리콘계 음극재는 수요 증가와 생산성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하락해 2030년에는 27달러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