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톱 기후환경 녹색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그린 스타트업 1000개, 예비 그린 유니콘(가치 1000억원 이상 신생기업) 10개를 육성하기 위해 창업부터 외국 진출까지 단계별로 지원하고 유망기업에 지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아이디어만 가지고도 창업할 수 있도록 녹색창업랩을 운영하고 관련기업이 기술·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녹색 융합클러스터 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등 지원을 다각화한다.
인수합병(M&A) 목적 자금지원을 녹색투자펀드 등의 투자대상에 포함함으로써 녹색벤처·중소기업 간 대형화‧경쟁력 강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예비 그린 유니콘을 위해서는 매출이 따라오지는 못했지만 투자를 많이 유치해 성장 속도가 빠른 곳에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빠른 성장을 한 신생기업이 매출 때문에 재정 조건 미달로 각종 지원사업에 신청할 수 없는 사례를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2차전지 순환 이용성 향상 △기후위기 대비 극한 물 재해 예방·대응 △신재생에너지 폐기물과 폐전기·전자제품 내 유가금속 회수 △폐플래스틱 연료·원료화 등 세계 최고 수준에 근접한 국내 10개 기술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경쟁형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민간 주도 혁신위원회를 정례화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녹색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해수 담수화 농축수로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을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연구해 자원 확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동시에 이루기로 했다.
정부는 녹색산업을 위한 신시장 창출에도 나서 각국이 안고 있는 환경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한국형 자원순환 정책을 브랜드화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로 했다.
온실가스(GHG) 감축 사업에서 예상되는 감축 실적을 정부가 고정된 가격에 선매입하는 탄소차액계약제도(CCfD) 운영안 검토, 수소자동차 보조금 차등 지원 법적 근거 마련 등의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