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체 자기방어 유전자 서열 해독
농작물의 병충해 방어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식물체 자기방어 유전자 서열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해독됐다.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최양도 교수팀과 싸이젠하베스트(대표 이희설)는 식물체 생장조절 및 병해충에 대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식물효소의 유전자를 애기장대(Arabidopsis)에서 분리시켜 유전자의 서열을 밝히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4월10일 발표했다. 최양도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미국 한림원 학술지(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4월10일자에 공개됐다. 최양도 교수팀이 해독한 자기방어 유전자는 자스몬산 메틸화 효소의 유전자인데 자스몬산 메틸화 효소는 식물체에 침입한 병해충 및 병원균, 가뭄·추위 등의 외부환경 스트레스를 감지해 식물체 내부에 알려주는 조기 경보기 역할을 한다. 조기 경보가 발령되면 휴면상태에 있던 식물체의 방어시스템이 가동되고 자기방어시스템에 필요한 일련의 식물체 유전자가 활동하기 시작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병충해 저항성 식물을 얻기 위해 특정 해충이나 병원균에 대항하는 유전자를 식물체에 주입하는 방식을 사용해 다양한 병해충 및 병원균에 저항하는 식물체 개발이 어려웠던 반면, 신개발한 방식은 식물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방어시스템을 강화시켜 다양한 병충해 및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최양도 교수는 2010년에는 유전자 형질전환작물의 세계 시장규모가 2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싸이젠하베스트는 광합성 유전자를 도입한 다수확성 형질전환 벼를 개발한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1/04/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식물체 이용 고부가 단백질 생산기술 개발 | 2001-11-29 | ||
[제약] 산자부, 식물체 이용 단백질 생산기술 개발 | 200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