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급망 위기 대응능력을 적극 강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인디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협정이 4월17일 정식 발효됨에 따라 공급망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 확대, 물류 개선, 공동 연구개발(R&D) 등에 협력하고 공급망 위기가 발생하는 즉시 14개국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기대응네트워크(CRN)를 운영할 계획이다.
IPEF는 최초의 공급망 관련 다자간 국제 협정으로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 등 14개국이 참여해 회원국이 요청하면 위기대응네트워크를 통해 15일 내 긴급회의를 열고 수요·공급기업 매칭, 대체 운송 경로 발굴 등 공급망 위기 극복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IPEF는 2월24일 미국, 일본, 싱가폴, 피지, 인디아 등에서 먼저 발효됐으며 한국은 6번째 비준국이다.
한국은 특정국 수입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이 2022년 4000개를 상회했으며, 특히 리튬, 코발트, 흑연 등 핵심광물은 2023년 전체의 80%에 달했다.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2024년부터 3년 동안 2417억원을 투입해 새만금에 핵심광물 전용 비축기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온도·습도에 민감하고 보관 조건이 까다로운 희토류·마그네슘 등을 최적의 품질로 장기간 보관하는 특수창고도 갖출 계획이다.
또 핵심광물 비축량은 3월 51일분에서 2031년까지 100일분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