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G휴켐스(대표 이건호·김우찬)가 PDA(Phenylenediamine) 양산기술을 확보했다.
TKG휴켐스는 슈퍼섬유 아라미드의 핵심원료 원천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사업을 기존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중간재에서 고부가 슈퍼섬유로 확장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아라미드 섬유는 가볍지만 강철 대비 5배 이상 높은 강도와 섭씨 500도 이상 고열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지녀 방탄복, 전기자동차(EV) 타이어코드, 광케이블, 방화복, 절연제에 사용된다.
아라미드 섬유는 주원료에 따라 충격에 강한 파라계와 열에 강한 메타계로 구분되며 TKG휴켐스는 파라계와 메타계 원료를 모두 생산 가능한 기술을 확보했다.
국내 아라미드 섬유 생산량은 2023년 1만7000톤에서 2025년 3만3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요구되는 PDA 수요 역시 2023년 8000톤에서 2025년 1만6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현재 국내 아라미드 섬유 생산기업은 주원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라미드 섬유 원료 국산화는 국내 아라미드 생산기업들의 수급 안정성을 보장하고 핵심 원료 수입 대체효과는 물론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한다.
TKG휴켐스는 2013년부터 PDA 개발을 시작해 2019년 9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조기술을 인정받아 2023년 1월에는 150대 핵심기술로 선정됐다. 현재 파라계 PDA 제조방법 등에 대한 특허 9개를 보유하고 양산공정 설계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TKG휴켐스 관계자는 “PDA 양산공장 건설 시기는 대내외적 시장 환경 등을 고려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