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BASF)가 동아프리카에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빌딩 솔루션을 개발했다.
케냐의 친환경 건축 소재 생산기업 타카주리(Takazuri)와 협력을 통해 개발한 새로운 솔루션은 지속가능제품 사용을 통해 기후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해 현지에서 수거된 폐기물을 활용하는 타카주리의 클라이머타일 (Climatile) 기술 및 동아프리카의 독특한 기상 조건에 맞도록 특
별히 맞춤 제작된 바스프의 첨가제 패키지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바스프와 타카주리는 아프리카의 경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건설산업과 지역사회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솔루션을 다른 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인구는 2050년까지 2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급속한 인구 증가 및 도시화로 플래스틱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건설부문에서 대형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타카주리는 현지 자원 활용을 통해 주택, 상업, 의료, 교육, 구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기후복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타카주리의 지붕 및 클래딩 솔루션인 클라이머타일은 단열을 강화하고 태양광 반사율과 방출량을 개선해 실내 온도를 낮추며 표면에는 부식으로부터 안전한 빗물 집수 시스템을 적용했다.
클라이머타일은 스마트 클리핑 매커니즘(Smart Clipping Mechanism)을 통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되도록 설계해 초경량 프레임리스 태양광 패널 및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 요소 등을 적용할 수 있어 업그레이드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주로 쿨루프 및 벽면에 활용돼 기후탄력적 건축 설계를 지원하고 있다.
바스프 플래스틱 첨가제 사업부 글로벌 마케팅 및 개발 부사장 베티나 소보트카(Bettina Sobotka)는 “바스프는 클라이머타일이 필요로 하는 기술 요구사항, 사양 및 시장 포지셔닝에 맞는 생산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타카주리와 꾸준히 협력했다”며 “재활용 소재의 장기간 야외노출에 가장 최적화된 첨가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됐고 동아프리카의 건설부문과 아프리카 지역사회 및 경제 성장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타카주리는 수년 동안 케냐의 기후행동 및 녹색성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지속 및 재생 가능한 건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적극 노력했다.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 전체로 확장할 수 있는 혁신제품을 통해 아프리카 건설산업의 미래를 보다 기후탄력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스프의 안정제는 신규 생산 플래스틱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머타일과 같은 지속가능한 응용 분야 지원을 위한 소비 후 재활용제품 품질 개선에 필수적이며, 클라이머타일은 적절한 항산화제와 광안정제를 활용한 재안정화를 통해 경제성을 지니면서 누수 없이 긴 수명을 갖추었다. (강윤화 책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