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요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의 탄소 감축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0월11일 석유화학 및 정유산업 관계자들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석유화학과 정유는 국내 수출 주력산업이나 석유를 원료로 쓰는 특성상 탄소 배출량이 많고 아직 확실한 탄소 감축 기술이 없어 주요국 탄소 규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된다.
이에 따라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상용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저탄소·고기능 소재 기술 개발 지원 등 정책 과제가 제시됐다.
박인철 롯데케미칼 부문장은 “석유화학은 특성상 탄소 경쟁력이 취약하지만 태양광, 풍력, 전기·수소 자동차 등 친환경 사업이 모두 석유화학제품에 의존하고 있어 수요는 2060년까지 3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소, 재생에너지, CCUS 등 인프라를 구축해 연료·원료 대체와 간접배출 감소 등을 지원하고 탄소차액계약제도 등으로 국내기업들이 탄소 감축에 더 적극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달라”고 덧붙였다.
안국헌 대한석유협회 실장은 “정유산업은 원료와 생산제품이 모두 탄소 기반이라 감축 기술이 매우 제한적”이라며 “지속가능항공유(SAF), CCUS, 합성연료(e-fuel) 등 감축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나 경제성이 낮고 초기 단계에 있어 널리 적용하기 어렵다”고 발언했다.
이어 “정부가 국가과제로 감축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대체원료 공급체계 마련 등 정책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2035) 수립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관련기업들의 노력을 당부면서 다배출산업의 탄소 감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무탄소 에너지 확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직접배출(스코프1) 감축이 어려운 특성을 고려할 때 CCUS를 통한 감축, 공정 전기화 등을 주요 감축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CCUS법 하위법령을 차질 없이 마련해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자를 뒷받침하고 무탄소에너지를 확대해 공정 전기화에 따른 탄소 감축 효과가 증대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