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중국 2차전지 소재 생산기업을 상대로 양극재 특허 관련 소송을 냈다.
LG화학은 최근 서울중앙지법에 중국 룽바이(Ningbo Ronbay New Energy Technology)의 한국 자회사인 재세능원(JS Energy)을 상대로 특허침해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룽바이가 LG화학의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 기술 특허를 무단으로 사용하며 재세능원을 통해 생산·판매했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양극재는 배터리 생산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며 배터리 수명 등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LG화학은 2006년 세계 최초로 NCM 양극재를 양산하며 양극재 기술을 축적했으며 현재 전세계에 1300여건의 양극재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룽바이는 상하이(Shanghai)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으로 자동차용 고효율 양극재인 하이니켈 NCM 분야 중국 1위이며, 재세능원은 현재 충청북도 충주에서 양극재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2023년 8월 제2공장을 착공한데 이어 2025년 제3공장까지 증설해 충주에서만 10만톤 이상의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룽바이의 양극재 샘플을 분석해 다수의 특허 무단 사용을 확인하고 소송을 냈으며 최근 법원이 LG화학의 증거 보전 신청을 받아들여 재세능원 공장에서 해당 절차를 시행하기도 했다.
특허 침해 관련 내용은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무역위원회에서도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앞서 연초에 LG화학이 롱바이 측을 불공정 무역 행위 혐의로 무역위에 신고한데 따른 것이다.
전기자동차(EV)용 중대형 배터리에서 중국기업과의 특허 소송이 벌어진 것은 처음이며 시장 관계자들은 금번 소송이 향후 양극재 특허 분쟁의 기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적재산(IP)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한 적극적인 권리 행사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LG화학 관계자는 “정당한 권리 행사는 물론 글로벌 배터리 소재 생산기업들에 라이선싱 등 LG화학의 우수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적재산권 사업 모델을 제공해 산업계 공동의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