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신동빈·이영준·황진구·이훈기)은 임원들이 급여 일부를 자진반납한다.
롯데 화학군은 업황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영업실적 부진이 누적되고, 롯데지주 역시 글로벌 경기침체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영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등 화학군 계열사 임원들은 책임경영 차원에서 11월부터 급여 일부를 자진 반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 화학군 계열사 임원들은 급여의 10-30%를, 롯데지주 임원은 급여의 20-30%를 11월부터 각각 자진 반납할 예정이다. 다만, 급여 자진반납이 몇 개월 동안 이어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임원들의 급여 자진반납은 석유화학산업의 불황과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신동빈 회장을 포함한 경영진이 솔선수범해 어려운 환경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최근 공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7월부터 시작한 비상경영에도 불구하고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마이너스 413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5조2002억원으로 5.6% 증가했다.
롯데정밀화학 역시 매출은 4204억원으로 4.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70.7% 격감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롯데는 경영환경 변화에 선제로 대응하며 본원적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롯데지주는 경영 환경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계열사의 경영활동 지원을 늘리는 등 협력 강화를 위해 8월부터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아울러 인력 운영 효율화를 위해 롯데온, 롯데면세점, 세븐일레븐에 이어 롯데호텔앤리조트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