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단지 입주기업들이 기존 사택의 아파트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민단체와 갈등을 겪고 있다.
여수시는 최근 롯데케미칼 사택 부지에 아파트를 짓는 도시관리계획안과 관련해 교통영향 평가 등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이 선원동 사택 15만평방미터 부지에 대단지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해 사업 계획을 제출한데 따른 것이나 시민사회는 행정절차 중단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등 여수 시민사회단체들은 최근 성명을 내고 “고층아파트 건설과 일반 분양을 통한 막대한 부동산 개발 이익을 노린 꼼수”라고 비판했다.
총 2653세대 중 931세대를 사택으로 사용하고 3분의 2 가량인 1722세대는 일반 분양한다는 계획을 두고 인구 감소와 이미 108%를 넘긴 주택보급률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이 구도심 공동화, 주택 공실률 증가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화솔루션도 소호동 21만평방미터 사택 부지에 2900세대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 변경 신청서를 5월 제출했으나 2개월만에 철회했다.
또 외곽도로 형태의 소호-죽림 터널 건설, 공원 조성 등 1000억원대 기부채납도 제안했으나 잠정 포기했다.
수년간 검토와 논의를 진행했으나 5층 이상 건물이 허용되지 않는 1종 일반주거지역인 부지를 2종으로 상향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호적이지 않은 지역사회 반응에 포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입주기업 임직원들은 길게는 40년을 넘긴 사택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 상당수가 다른 주택을 임차하고 있으며 인접한 순천에 거주하는 직원도 해마다 늘고 있다.
한 입주기업 직원은 “여수단지는 다른 지역보다 젊은 세대를 유인할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하다”며 “젊은 직원이 장기간 머무르면서 결혼, 출산, 양육까지 하려면 정주여건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입주기업들은 사택 부지에 주거 단지와 관광 인프라를 건설하면 직원들은 물론 여수 지역사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종 상향으로 예상되는 지가 상승과 분양 이익에 대한 비판,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미분양 우려도 만만치 않아 지역사회 공론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