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술혁신센터 8개 추가설치
강원, 충북, 제주 등 지역기술혁신기반이 취약한 8개 지역의 배후산업을 대상으로 지역기술혁신센터(Technology Innovation Center)가 추가 설치된다. 산업자원부는 8개 지역의 대학에 지역기술혁신센터를 추가 설치해 5년간 50억원의 장비구입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원-파인세라믹 ▶충북-생물(의약·식품용 기능성소재) ▶충남-전자·정보기기 및 부품 ▶전북-기계(농기계·기계소재부품 등) ▶전남-환경친화형 물질공정기술 ▶경북-생물농업(비료·농약 등) 및 식품용 기능성 생물소재 ▶제주-생물(의약·식품용 기능성소재) ▶울산-고기능성 정밀화학소재 기술 등이 지원 대상산업이다. 산자부는 해당지역 대학을 대상으로 5월 16-18일 소정의 요건을 갖춘 사업계획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신청안내 책자 및 신청서류는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 홈페이지(itpb.kidp.or.kr)나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홈페이지(www.itep.re.kr)에서 교부한다. 산자부는 산·학·연 전문가들의 현장실태조사와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6월중 지원대학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산자부는 1995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00년까지 21개의 센터를 전국에 설치·운영중인데 2000년 중간평가 결과 504개의 지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과제 114건, 장비활용 908건, 창업보육 기업 22개사, 교육훈련 인원 1067명, 기술지도 343건 등의 높은 지원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술혁신센터는 지역배후산업의 기술혁신과 신기술창업을 종합지원하기 위해 지역대학에 설치하는 센터로 고가연구장비의 공동활용,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산업체인력 재교육, 신기술 창업보육, 기술정보 유통 등 5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4/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일본, 에틸렌 저가동 체제 “28개월” | 2025-01-20 | ||
[석유화학] LLDPE, 8개월만에 최저치로… | 2024-12-09 | ||
[안전/사고] 에쓰오일, 8개 생산공정 정상 가동 | 2022-08-26 | ||
[퍼스널케어] 팜핵유, 18개월만에 최고치 “급등” | 2020-01-29 | ||
[석유화학] 에틸렌, 일본 28개월 연속 풀가동 | 2018-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