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흑연의 국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포스코그룹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월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흑연 등 국내 생산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느냐는 물음에 “흑연 문제는 미국-중국 간 수출 통제로 이슈화돼 심각한 부분이 있다”며 “국내에서 포스코그룹이 만들고 있는데 국내 생산 촉진 방안을 새 프로그램 통해 지원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 의존도가 높은 흑연 국내 생산과 도입선 다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5조원으로 조성된 정부의 공급망안정화기금과 별도의 재정 사업을 운용하는 방향으로 보조금 지원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보조금이라고 보면 되고 대폭 늘리지는 못해도 특수한 품목은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1월15일 관계기관 합동으로 발표한 친환경 자동차 및 2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에서 특정한 고위험 경제안보 품목의 수급 안정을 위해 국내 생산이나 수입 다변화를 지원하는 공급망 안정화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제성이 낮아 국내에서 생산하기 어려운 것은 국내 생산과 구매 촉진을 지원하고, 중국 등 특정국 의존이 높은 품목은 제3국에서 수입할 때 단가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원래 저리 대출 등 정책 금융을 중심으로 국내기업들의 공급망 다변화 정책을 지원했으나 그동안 신중하게 접근해온 보조금 지급 방식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흑연은 음극재의 핵심 소재지만 중국이 천연·인조흑연 모두 글로벌 음극재용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출하량 기준 빅3인 BTR과 산산(Shanshan), 지첸(Zichen Technology)을 포함해 1-9위를 모두 중국기업이 차지했고 포스코퓨처엠은 10위로 비중국기업으로 유일하게 10위권에 들어 있다.
정부는 미국이 중국에 반도체 제재를 가하고 중국은 흑연 수출을 무기화해 맞서겠다는 뜻을 천명하고 있어 양국 간 갈등 상황에서 국내 2차전지 산업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대부분 중국기업에서 음극재를 조달하고 부분적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에서 구매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신소재 사업을 그룹 차원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탈중국 흑연 공급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중국산 천연흑연 원료를 들여와 국내에서 음극재를 가공해 완제품을 만들며 그룹 차원의 탈중국 음극재 공급망은 아프리카산 흑연 도입·가공 체계가 완결되는 2027년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포스코퓨처엠은 중국 경쟁기업들의 밀어내기식 저가공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은 정부 차원의 보조금에 힘입어 천연흑연 기반 음극재 완성제품을 kg당 2달러대에 판매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의 공급가격 대비 40-50% 낮은 수준이며,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외 주문 감소로 천연흑연 기반 음극재를 생산하는 세종공장 가동률이 최근 10%대까지 떨어졌고 2024년 1-3분기 음극재 사업 영업적자가 수백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