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국내 최초로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를 양산한다.
LG화학은 3월5일부터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전구체 프리 양극재를 선보일 예정이다.
LPF는 전구체를 따로 만들지 않고 맞춤 설계된 메탈에서 바로 소성해 양극재를 만드는 방식으로, 저온출력 등 성능 개선 효과와 새로운 전구체 개발기간 단축 등의 장점이 기대되고 있다.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장하기 위한 투자비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구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은 상반기 LPF 양극재 양산을 시작으로 신제품에 LPF 기술을 확대 적용해 수요기업에게 성능과 비용, 친환경 측면에서 차별화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인터배터리 전시에서 기존 주력 양극재인 하이니켈 사양 이외에도 보급형 전기자동차(EV)의 가성비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생산제품군과 기술 솔루션을 선보일 방침이다.
니켈 함량 96% 이상인 울트라 하이니켈제품군과 함께 고전압 미드니켈, 고밀도 리튬인산철(LFP), 니켈·코발트·망간(NCM)과 블렌딩한 차별화 LFP 라인업을 소개하고 LG화학의 핵심 기술인 단입자 기술과 스마트팩토리를 활용한 제조 경쟁력도 소개할 예정이다.
또 화염 및 열폭주를 차단하는 넥슐라와 FBF, FBS 등 안전 소재, 케이블과 하우징 등 전기자동차 충전 소재, 건식전극용 양극재와 전고체용 양극재 등 차세대 혁신 소재도 대거 선보인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LPF 양극재, 안전 소재 등 배터리 분야의 차세대 혁신 소재로 미래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며 “LG화학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수요기업 중심의 솔루션으로 배터리 소재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