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산화탄소(CO2) 포집·저장(CCS)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CCUS 추진단은 산업부의 후원을 받아 6월12일 서울시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K-CCS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CCS 사업 주요 추진국들이 한자리에 모여, 유럽 중심의 국경 통과 CCS 사업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등 이산화탄소 수입국과 일본, 싱가폴 등 이산화탄소 수출국, 노르웨이 등 CCS 사업 선도국의 정부 관계자·기업인 등 약 200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산업부는 기조연설에서 2025년 2월부터 시행된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소개하고, 동해가스전 CCS 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현황, 국경 통과 CCS 등 CCS 산업 육성 방향을 발표했다.
또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일본, 싱가폴, 노르웨이 정부 관계자들과 각국의 CCS 정책과 계획을 공유했다.
국내외 17개 CCS 추진·유관기업들은 최신 프로젝트와 기술 동향을 공유하며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해외기업으로는 쉐브론(Chevron)과 엑손모빌(ExxonMobil)이, 국내에서는 대한석유공사(KNOC), GS칼텍스, 포스코인터내셔널, 삼성E&A, SK이노베이션 E&S가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산업부는 행사 참여국의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국내기업의 CCS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CCS는 제조업 분야의 현실적 탄소 감축 수단이자 미래 에너지 신산업”이라며 “유럽 중심의 국경 통과 CCS 사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주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