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T-POF-산업용 섬유 개발 추진
앞으로 5년 안에 우리기술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초고속 동영상 송수신이 가능해지고 10년 안에 개인용 로봇이 등장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는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9개 과제와 차세대 신기술개발사업 7개과제 등 모두 16개과제를 2001년도 지원대상 과제로 확정하고 7월27일부터 사업계획서와 사업자를 공모한다고 7월22일 발표했다. 산자부는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중점거점기술에 대해서는 4-5년간 과제당 모두 100억원 가량을, 지식기반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사업인 차세대신기술에는 6-10년간 200억원씩을 각각 지원키로 하고 우선 2003년까지 1200억원을 지급키로 했다. 중기거점기술 과제로는 ▲인공위성 동영상 송수신시스템 ▲고기능성 부품가공용 지능형 연삭가공시스템 ▲고성능 포스트PC 플랫폼 ▲고부가가치 정밀분자제어기술 ▲생산기반기술 지능형 엑스퍼트 시스템 ▲승용차용 섀시코너모듈 기술 ▲첨단센서 및 계측기기 ▲차세대 신섬유 소재 PTT ▲저온 폴리실리콘 유기EL 등이 선정됐다. 차세대 신기술로는 ▲나노기술을 통한 차세대 광소자-소재 ▲차세대 로봇기반기술 ▲플래스틱 광섬유(POF) 소재기술 ▲자연냉매를 적용한 냉난방시스템 ▲나노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산업용 섬유 ▲차세대 바이오마그네티즘 진단 및 치료기기 ▲식물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단백질 생산기술 등이 선정됐다. 산자부는 나일론의 뒤를 이을 차세대 섬유소재인 PTT 개발이 성공하면 원사 기준으로 90억달러에 달하는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고, 로봇 기술도 20년 안에 자동차 시장과 맞먹는 규모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어 적극 대처할 방침이다. 또 고부가가치 정밀분자 제어기술이 개발되면 2005년 국내 예상수입의 27% 이상인 1억4100만달러를 수입대체하고, 2006년에는 7800만달러를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플래스틱 광섬유는 건물 내부의 정보 송수신과 자동차, 군수산업 등 다방면에 활용돼 개발 완료 시점에 3000억원 정도의 수입대체효과를 올리고, 유기EL도 2010년 휴대폰 수요 9억대 가운데 1억5000만대 이상에 채택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자부는 2000년 말 기술개발 수요조사를 통해 발굴한 150개 과제 가운데 42개를 놓고 산-학-연이 참여하는 기술기획전문위원회와 정책위원회에서 사업화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보고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HS효성, 중국 탄소섬유 공세 강화 | 2025-09-17 | ||
[합성섬유] 효성티앤씨, 리사이클 섬유 확대 | 2025-09-15 | ||
[석유화학] 가성소다, 알루미나‧섬유 강세에… | 2025-09-12 | ||
[EP/컴파운딩] HS효성, 북미 탄소섬유 시장 공략 | 2025-09-10 | ||
[EP/컴파운딩] HS효성, 친환경 탄소섬유 생산 | 202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