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소재 KS규격 완전 국제규격화
2005년까지 국제규격(ISO/IEC)과 동등하지 않은 기계류, 부품, 소재 등 자본재 분야 724종의 KS 규격이 완전 국제규격과 일치 또는 동등하게 개정된다. 또 KS규격이 없는 국제규격 3502종 중 67%인 2342종의 규격이 국가표준으로 제정되고, 국제규격이 없는 국내고유기술 및 신기술 분야 63종도 국가표준으로 제정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선진국들이 기계류, 소재, 부품의 국제표준을 시장확대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에 따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국제규격을 도입하기 위해 "자본재분야 KS규격 세계수준화 5개년 사업계획"을 수립해 추진키로 했다. 기계류, 부품, 소재산업은 다품종 소량의 주문생산에 의존하는 영세한 산업구조로 고부가가치 기계류, 부품, 소재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추진방법은 국제규격별로 담당자를 지정해 규격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우선순위에 따라 연차적으로 추진한다. 국제규격이 없는 국내 고유기술 또는 신기술 분야를 적극 발굴해 KS 규격화 및 국제규격안으로 제안하고, 규격의 활용도가 낮고 사양화된 규격은 과감히 폐지해 나가기로 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8/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LED조명 KS규격 제정 | 2007-03-07 | ||
[석유정제] 태양광 국제성능검사ㆍKS규격 도입 | 2005-08-26 | ||
[EP/컴파운딩] 의료용 소재 KS규격 제정 보급 | 2002-11-05 | ||
[기술/특허] 담배성분 측정방법 KS규격 제정 | 2002-09-19 | ||
[페인트/잉크] LG화학, 도로표지판용 반사지 KS규격 획득 | 200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