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kW급 원자력발전소 2기 건설
산업자원부가 장기 전력 수급계획상 2008-09년 준공 예정인 100만kW급 신규 원전 1-2호기를 고리원전에 인접한 효암 비학(부산 기장군 및 울산 울주군 소재)에 한국표준형원전으로 건설키로 2000년 결정한 바 있으나 건설일정이 제대로 지켜질 지 의문이다.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 등으로 정부의 자금사정이 넉넉치 않기 때문이다. 신규 원전은 현재 운영중인 16기의 원전과 건설중인 4기 원전에 이어 국내 21, 22번째 원전에 해당하며, 한국표준형 원전으로는 울진 3-6호기, 영광 5-6호기에 이어 7-8번째로 반복 건설되는 것이다. 건설방침이 확정됨으로써 최근 전력 수요급증으로 대두되고 있는 장기 전력 수급의 불안요인을 해소하는데 일조하게 됐다. 원전 건설계획(8기 960만㎾) ----------------------------------------------------------------------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용량(만㎾) 100 100×2 100, 140 140 - 140 140 - ---------------------------------------------------------------------- 산자부는 한국표준형원전과 캐나다형 중수로원전 간에 비교평가를 거쳐 노형을 결정하기로 했던 봉길부지(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인접지역)의 신규 원전에 대해서는 최근의 경제성 여건변화를 반영해 재평가를 실시한 후 2009-10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표준형 원전은 미국 ABB-CE가 개발한 원전(System80)을 참조모델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최신기술을 추가로 적용하고 선행호기 건설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산업기술능력과 한국인의 운전관행에 맞도록 개량한 100만㎾급 가압경수형(PWR) 원전이다. 정부는 1983년 동일 원전의 반복 건설을 통해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원전표준화 방침 결정했으며, 1986년 영광원전 3-4호기 건설사업과 더불어 원전건설기술 자립계획(1986-95년)을 추진해 미국 ABB-CE로부터 기술을 도입하고 한국표준형 원전설계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 1992년 표준설계를 적용해 울진원전 3-4호기 건설에 착수한데 이어 1998년 한국표준형 원전 최초 호기인 울진 3호기을 준공했고, 현재는 영광 5-6호기, 울진 5-6호기 및 북한경수로 2기 등 6기를 한국표준형 원전으로 건설중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1/08/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정제] 2008년 원자력발전소 이용률 93% | 2009-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