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 석유화학업계로서는 곧바로 경쟁력 약화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경기 침체로 화학제품 수출이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품목에 따라서는 70-80% 감소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산업에서 안정적인 수급구조는 국내수요 대비 생산능력이 20-30% 초과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국내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출은 국제환경에 따라 가변적 요소들을 상당부분 안고 있어 경쟁력 제고에 장애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석유화학산업 특히 합성수지는 수출비중이 거의 50%에 달하고 있어 지금과 같이 세계경기가 불황인 상황에서는 경쟁력 있는 마케팅을 구사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이라는 거대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상황에서 중국의 정치사회적 변화와 다국적기업들의 중국 진출과 원료 코스트 이점으로 밀려들어오고 있는 중동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생존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변해가고 있다. 또 범용제품 위주 수출로 미국이나 유럽등 원거리 이동하는 것은 원유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가격경쟁력이 없어 쉬운 문제가 아닐 뿐만 아니라 소위 말하는 역외권 국가라고 할 수 있는 동남아 등에서의 신증설은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경쟁력을 상실시키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중국의 반덤핑 규제현황 | 석유화학제품 수출실적 | 합성수지 생산능력 | 합성수지 수출실적 | 석유화학제품 수출현황 | 합성수지 수출현황 | 합성수지 수출현황(국가별) | LDPE 수급현황 | HDPE 수급현황 | PP 수급현황 | ABS 수급현황 | PS 수급현황 | PVC 수급현황 | <화학저널 2001/10/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합성수지 침체 심각 | 2025-02-04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
[화학물류] 합성수지, 컨테이너 운임 폭락세 | 2022-11-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
[화학무역] 합성수지, 인도네시아 수출 “혼란”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