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BDO, 수요창출 가능한가?
2001년 1,4-BDO(1,4-Butanediol) 국내수요가 1만9000-2만톤 정도에 달할 전망이다. 2001년에는 1,4-BDO를 한국BASF가 1만톤, Korea PTG가 4000톤, Mitsubishi Chemical이 5000톤 공급하고 1000톤은 수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01년 말부터 Biodegradable Polyester의 본격 생산이 예상됨에 따라 원료인 1,4-BDO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성숙되지 않은 생분해성 Polyester 시장이 실제 활성화된다면 1,4-BDO 수요가 1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 국내수요는 Korea PTG의 자가소비분 제외시 1만750 0톤 정도였다. 국내 1,4-BDO 생산기업으로는 Korea PTG와 한국BASF가 있다. 한국BASF는 Butadiene을 원료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1,4-BDO와 THF(Tetrahydrofuran)를 하나의 라인에서 병산하고 있고, THF로 PTMEG(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BASF는 1,4-BDO 5만톤 및 PTMEG 2만5000톤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1년 1,4-BDO를 2만2500톤 생산해 1만2500톤은 수출, 1만톤 정도는 국내에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TH F는 2만톤 정도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BASF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타이완, 중국 등이며, 일본 Mitsubishi Chemical로부터 기술 을 도입하면서 1,4-BDO 생산량 중 1만톤 가량을 Mitsubishi에 공급키로 계약한 바 있다. Korea PTG는 Butane을 원료로 생산한 MA(Maleic Anhydride)를 사용해 1,4-BDO를 생산하고 있으 며, 1,4-BDO로부터 THF, PTMEG를 생산하는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다. MA와 1,4-BDO 각각 2만8000톤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MA는 전량 자가소비하고 부족분 50 00톤 정도를 용산화학에서 공급받고 있다. 1,4-BDO의 주용도는 THF, PBT, PU(Polyurethane)이며, Korea PTG가 THF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PBT용이 45%, PU용이 55% 정도이다. 한편, 국내 PBT 시장은 전기·전자산업의 침체로 다소 주춤하고 있다. PBT 생산기업으로 LG화학, 코오롱, 삼양사, 새한이 있으며,생산능력은 각각 8000톤, 5000톤, 5 000톤, 5000톤 정도이다. 새한이 생산하는 PBT는 기존 생산기업들의 DMT 사용공법이 아니라 원료가격 면에서 경제성이 있는 TPA(Terephthalic Acid)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A 사용공법은 원료 가격부담이 적은 반면, 부산물로 THF와 물이 생성돼 Recycling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10/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송원산업, 첨가제 수요창출 “총력” | 2016-03-22 | ||
[아로마틱] Toluene, P-X 신증설로 수요창출 | 2003-03-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일본, 규산소다 수요창출 시급 | 2003-02-17 | ||
[합성섬유] SAP, 개도국 수요창출 "실패" | 1997-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