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생산 323만대 가능한가?
2001년 한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00년보다 3.6% 늘어난 323만대에 달해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제4위 자동차 생산국으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됐으나 최근 수출부진으로 목표 달성이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2001년 자동차산업 수정전망'에서 자동차 국내판매는 20000년보다 1. 3% 증가한 145만대, 수출은 6.7% 늘어난 178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2001년 자동차 323만대를 생산하면 1998년 8위로 떨어졌던 한국의 세계 자동차 생산국 순위도 프랑스를 제치고 4위로 올라선다. 자동차 국내판매는 소비심리 위축에 따라 2000년보다 1.3% 늘어난 145만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 했다. 적극적 판촉활동과 신모델 및 변형모델 투입, 디젤차 출시, 삼성차 정상화 등 긍정적 요 인과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불안, 대우차 문제 등 부정적 요인이 팽팽히 맞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수출은 대우차 경영정상화 및 미국경기 연착륙 여부가 가장 큰 변수이지만 원화환율 상승과 국 내수요 부진을 수출로 타개하려는 판매전략이 맞물려 승용차 160만대, 상용차 18만대 등 178만 대(현지조립생산(KD) 포함시 2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보복폭격으로 미국의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은 상태이고, 세계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수출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라는 경해가 힘은 얻고 있다. 국내판매는 실업자 증가 등으로 소형차가 1.3% 줄어든 23만대, RV(레저용차량)는 LPG(액화석유 가스) 가격인상과 차종분류기준 변경 등으로 미니밴 판매가 감소하는 반면 싼타페, 하이랜드, 무쏘 등 신.변형 모델이 투입되는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판매가 증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2.1% 감소한 42만5000대를 판매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경차는 휘발유값 인상, 경기하강 등으로 2.2% 늘어난 9만5000대, 중형차는 신모델 출시 와 치열한 판매경쟁으로 7.1% 증가한 24만대, 대형차는 계층간 소득격차 확대에 따라 6.7% 늘 어난 8만대 가량이 각각 판매될 전망이다. 특히, 수입차 시장은 일본 Toyota의 상륙과 경쟁가열에 따라 2000년 4000대에서 75% 급증한 70 00대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미국 Wall Street Journal은 현대, 기아, 대우 등 한국 자동차 3사의 2001년 미국 판매 증가율이 2000년보다는 둔화되지만 여전히 경쟁사들이 높아 30%를 기록할 것으로 보도한 바 있 다. 3사의 미국수출 차량이 싼 가격, 장기보증기간, 품질개선 등에 힘입어 판매량이 지난 2년간 무 려 170% 증가했으며, 미국시장 점유율은 2년전의 1.1%에서 최근 2.7%로 큰 상승세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제너럴 모터스, 포드, 다임러크라이슬러의 크라이슬러 부문 등 미국의 빅3는 한국차들과는 도 저히 가격 면에서 경쟁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최근 미국경기가 둔화되고 자동차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빅3는 한국차들도 판매목표를 달성하는데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 기아, 대우 등 3사는 2000년 미국시장에서 47만3357대의 차량을 판매한데 이어 2001년에 는 62만대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는 판매증가율을 15% 수준으로 보고 있으며 기아는37%, 대우는 76%를 예상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10/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BTX, 미생물 활용해 친환경 생산 | 2025-10-13 | ||
[점/접착제] 접착제, 인디아 자동차 시장 조준 | 2025-10-13 | ||
[바이오연료] DME, 연료화로 농업 생산성 개선 | 2025-10-13 | ||
[폴리머] SAP, 생산성 강화에 차별화한다! | 2025-09-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