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기업, R&D 기능간 역할 설정 중요시
선진기업들은 핵심 기술력을 체계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R&D 기능간의 주요 역할을 명확히 설정 하고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은 기초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주요 역할로 해 핵심 원천기술 개발, 중점사업 관련 선행 연구, 오랜 기간(5년 이상)을 요구하는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한다. 자원 조달은 회사 전 체 차원에서 부담/조달하며 사업화 이후에는 각 사업부에서 추가 부담한다. D는 제품 개발 및 엔지니어링을 주요 역할로 해 사업 영역내의 신제품 개발 및 기존 제품 개량 /개선, 엔지니어링 차원의 생산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한다. 자원 조달은 사업부별 사업 계획에 따라 독자적으로 조달/운영한다. 실제 3M, Merck, Motorola, Ericsson 등 대부분의 선진 기업들은 전사 차원의 R 기능과 사엽별 D 기능간의 주요 역할을 명확히 설정하고 유기적인 협력 체제 하에 운영하고 있다. 3M의 R&D 조직체제는 3가지 유형의 R&D 조직들이 명확한 역할 분담하에 체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3M의 연구소 운영은 '제품은 각 사업 부서에 속하지만 기술은 회사에 속한다'는 원칙 아래 30 여개의 핵심 기술군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3M은 3가지 유형의 R&D 조직들이 복잡하 고 유기적인 분자 구조 체제하에 운영되고 있다. R 기능에 해당하는 중앙 연구소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신 규사업 창출을 목표로, 10년 이상 소요되는 장기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D 기능에 해당하는 사업부 연구소는 시장 확대를 목표로 현재의 고객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기 제품 개발/개량 활동을 주로 수행한다. R 기능과 D 기능을 원활히 연계해 주는 기능을 하는 기술센터는 기존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력 을 창출하거나 새로운 시장 상황을 도출하는 등 시장 경쟁판도 변화를 목표로 3년에서 10년 정 도 장기간에 걸쳐 특정기술 분야에 대한 R&D 활동을 주로 수행한다. 기술센터는 하나 이상의 핵심 기술군 연구를 지속하는 책임을 맡는 동시에 신제품 개발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각 사업부서가 현재의 제품군에 안주하거나 연구원들이 기술 활용방안들에 대한 연 구노력 없이 단지 자신에게 흥미 있는 기술에만 몰두해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다 . 선진기업들의 R&D 조직 모습에서 간과해서는 안되는 점은 R 기능과 D 기능이 조직 구조 차원에 서 외형적으로 분리/운영되더라도 상호 원활한 기술이전, 인력 Rotation의 활성화 등을 통해 조직 운영은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긴밀하게 연계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선진 연구소들은 연구소장 등 R&D 경영층의 경우 해마다 실시하는 성과 평가에 의한 보 상과는 별개로 적정 임기를 보장,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소신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는 등 연구소의 전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 성과 평가시에는 단순히 성과의 결과만을 측정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업을 단/중/장 기 등으로 구분해 어떤 과업의 해결에 집중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근본적인 문제와 시급한 문 제의 해결 정도를 고려해 균형있게 평가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11/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화학기업, R&D 조직을 활성화하라! | 2025-08-14 | ||
[기술/특허] 화학기업, 첨단영역 R&D에 “사활” | 2025-08-08 | ||
[기술/특허] 바스프, 안산 전자 R&D센터 개소 | 2025-04-07 | ||
[반도체소재] AI, 반도체 소재 R&D 선도한다! | 2025-04-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MI, R&D에서 제조현장까지 디지털 전환을 서두른다!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