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기술 이용 국화 신품종 개발
국내 최초로 유전자 전환기술을 이용해 육성한 국화 신품종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는 애기장대의 조기개화 유전자를 국화에 이식해 기존 품종보다 일주일 이상 빨리 꽃이 피는 국화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 국화 육종사업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 는 계기를 마련했다. 원예연구소 생명공학연구팀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조기개화 유전자를 국화에 전환하는 연구 를 시작한지 2년만에 일반 국화 품종보다 1주일 정도 빨리 개화될 수 있는 국화를 만드는데 성 공했다. 유전자 전환기술에 의한 조기개화 국화 개발의 성공은 국화에서의 유전자 전환체계를 확립함으 로써 국화 육종사업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기개화 국화는 기존의 "수방력" 품종보다 노지상태의 개화기가 1주일 정도 빠르고, 초장이 약간 짧으며, 화형 및 화색은 변함이 없다. 국화는 영양번식 작물로 번식이 빠르기 때문에 본 조기개화 국화는 국내 최초의 유전자가 전환된 품종으로 조기에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조기개화 국화는 동절기의 연료비 절감, 촉성재배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조기개화로 시장에서 의 가격경쟁력 향상으로 국화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화 재배면적·생산액·수출액 ================================================ 구 분 1990 1995 2000 ------------------------------------------------ 재배면적(ha) 287.4 658.1 731.7 생산액(100만원) 8,118 45,558 56,175 수출액(1000달러) *74 **272 4,682 ------------------------------------------------ * 1996년 ** 1998년 또 국화 유전자 전환기술의 성공으로 육종사업의 도약도 기대되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유전자 전환기술을 신품종 개발에 이용함으로써 육종효율의 획기적 증진은 물론 가격경쟁력에서도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유전자 전환기술에 의한 작물개량 은 시작단계로, 원예작물에서는 생명공학기술에 의한 품종개량은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 없다. <Chemical Daily News 2001/11/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도레이, 폐수 재이용 효율 개선 | 2025-05-16 | ||
[배터리] 폐배터리, 순환이용 전초기지 건설 | 2025-05-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EPS, 재활용으로 친환경 소재화 일본, 유효이용률 제고한다! | 2025-09-12 | ||
[바이오화학] 미세조류, 산업적 이용 본격화… | 2025-06-13 | ||
[화학무역] 화학산업과 관세전쟁, 트럼프 관세전쟁 “경계” 화학, 기회로 역이용하라!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