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장관 김영환)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인규)은 제5회 젊은 과학자상(공학부문) 수상자로 전자·정보통신 등 제1군 분야에 이병호(37) 서울대학교 교수, 금속·재료·기계 등 제2군 분야에 방효충(37)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화공·식품·생명공학 등 제3군 분야에 현택환(37) 서울대학교 교수, 건축·토목·환경·에너지·자원 등 제4군 분야에 김동수(40)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를 선정했다. 제1군 수상자인 이병호 교수는 광섬유 소자 및 양자전자소자에 관한 광전자 공학분야에서 두드러진 연구 업적이 높이 평가됐으며, 제2군의 방효충 교수는 인공위성 자세제어를 위한 지상 시험용 1축 및 3축 testbed와 PILS(Processor-in-the-Loop-System) 시스템 개발 업적으로 수상하게 됐다. 제3군의 현택환 교수는 새로운 나노물질 개발 업적이 인정됐으며, 제4군의 김동수 교수는 지반공학분야의 내진설계 연구업적이 높이 평가됐다. 제3군(화공·식품·고분자·섬유·생물공학) 수상자인 현택환 서울대 응용화학부 교수는 '균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자성체 나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공로가 인정돼 수상하게 됐다. 나노입자 대량 생산기술 개발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에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Science지의 편집자가 선택한 Highlight로 소개될 정도로 나노입자 연구분야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대단한 연구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균일한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수많은 세계적인 연구진들이 개발해 발표했으나 기존의 균일한 나노입자 제조방법은 여러 입자가 크기가 섞여 나오는 것을 아주 힘든 분리방법으로 한 입자크기씩 분리해 내야만 가능하다. 우리가 10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를 얻고 싶으면 기존의 방법은 일단 5, 7, 10, 15, 등의 다양한 입자크기를 가진 혼합물을 만든 후 아주 힘든 방법으로 분리해 우리가 원하는 10나노미터 크기만 선택적으로 얻게 된다. 따라서 한 번에 제조할 수 있는 양이 고작해야 수 그램 정도이다. 그런데 현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은 우리가 원하는 크기의 나노입자를 바로 얻을 수 있다. 즉 10나노미터 크기를 원하면 바로 10나노미터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연구에서 제조한 나노입자들은 철과 자성을 띠는 산화철 나노입자들인데, 자기나노입자는 차세대 자기메모리디바이스의 요소기술가 되고 있다. 최근 IBM에서 개발한 자기메모리디바이스(컴퓨터 하드드라이브)가 10gigabit(109bit)/in2인데 비해, 5-10년 이내에 상용화될 차세대 메모리디바이스는 100배인 1tetrabit(1012bit)/in2의 메모리 용량을 가지는 것이다. 테라비트 자기메모리디바이스의 핵심기술이 바로 자기 나노입자를 가능하면 작게, 입자크기가 균일하게 제조한 후 입자를 균일하게 배열해야 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자성체 나노입자가 하나의 메모리 단위(bit)가 된다. 예를 들면 1 평방제곱미터의 기판에 10나노미터 크기의 자성체 나노입자가 10나노미터 간격을 두고 바둑판 같이 배열되어 있으면 약 1012개의 나노입자가 배열되게 되어 제곱인치당 테라비트 메모리를 가능하게 된다. 전세계 자기메모리장치 시장은 연간 약 400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현재까지 현택환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입자를 균일하게 작게 제조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현재 입자를 인치 크기의 기판에 균일하게 배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 제곱인치당 테라비트 이상의 자기메모리를 구현하기에는 많은 기술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지만 아주 균일한 자성체 나노입자를 개발한 것은 핵심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하드드라이브의 읽고/쓰는(read/write) 방법보다 훨씬 개선된 새로운 방법도 개발되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8월초 미국 고돈컨퍼런스(Gordon Research Conference)에 발표하였을 때 세계적인 연구자들로부터 엄청난 찬사를 받았다. 최근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에서 개최된 AsiaNANO 2001 학회에 초청강연으로 발표하였을 때도 참석자들로부터 엄청난 호응을 받았다. 또 12월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되는 Nissin Engineering Particle Technology International Symposium에도 초청받아 강연할 예정이다. 자기나노입자는 생명공학(Biotechnology) 분야에도 아주 중요한 응용될 수 있는데 초상자성을 띄는 자기나노입자를 암세포에 가져다 놓은 후 자기장의 걸어 주면 국부적으로 암세포에만 열이 발생해 암세포를 죽이는 Cancer theraphy에 응용될 수 있고, 자기 나노입자에 우리가 원하는 약물분자를 매달아 놓고 자석으로 원하는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전달매체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나노기술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응용가능성이 있는 기술이지만,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과 생명공학(biotechnology)의 요소기술로도 아주 중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젊은 과학자상은 21세기 우리 나라의 과학기술계를 이끌 40세 미만의 젊은 과학자를 발굴·포상하고자 제정돼 1997년부터 이학분야와 공학분야에서 각각 4명씩을 격년제로 선정하고 있으며 2000년까지 총 15명이 수상했다. 수상자들은 5월 시상공고 후 7월말까지 국내 젊은 과학자 17명이 추천돼 3단계의 엄격한 심사 후 최종 결정됐다. 대통령이 시상할 예정이며, 수상자에게는 대통령 상장과 5년간 매년 3000만원의 연구장려금이 지급된다. 그래프,도표:<젊은 과학자상 수상실적> <Chemical Daily News 2001/12/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물류] 화학물류, 젊은 선박 트렌드 확대 | 2025-01-10 | ||
[에너지정책] SK이노베이션, 젊은 임원 “세대교체” | 2016-12-21 | ||
[인사/행사] SK에너지, 젊은 아이디어 수혈 | 2011-09-27 | ||
[기술/특허] Merck 젊은 과학자상 2명 수상 | 2011-05-17 | ||
[인사/행사] 한화케미칼, 젊은 과학인재 육성 | 2011-02-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