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사용 합리화 "시급하다"
원유가격 등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단가상승과 수출 및 국내수요 증가로 인한 수입물량 증가 가 수입증가를 초래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0년 1-8월 수입단가는 총 수출단가 상승률 3.8%을 크게 상회하는 18.3% 를 기록해 1999년 3/4분기 이후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냈다. 자본재와 소비재의 수입단가는 전년동기대비 큰 변동이 없으나 원유 등의 원자재 수입단가는 3 7.2% 상승했다. 원자재가 수입단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원유 가격이 2000년 1-8월 87.8% 상승했다. 수입가격이 급등한 원유를 제외하면 2000년 1-8월 수입단가 상승률은 18.3%에서 8.1%로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1-8월 원유 수입은 158억4000만달러(5억9180만배럴)로 1999년 1-8월 80억3000만달러(5 억7350만배럴)에 비해 97.3%(78억1000만달러) 증가했으나 수입증가의 대부분이 가격상승에 기 인했다. 2000년 1-8월 교역조건이 -12.4%를 기록하는 등 악화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동기의 15 1억6000만달러에서 64억3000만달러로 대폭 축소됐다. 2000년 1-8월 수출증가액 230억달러 중 17.8%인 41억달러가 단가상승에 의해, 82.2%인 189억달 러가 물량증가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분석돼 물량증가가 수출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입은 증가액 317억3000만달러 중 51.5%인 163억5000만달러가 단가상승에 의해, 48.5% 인 153억8000만달러가 물량증가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증가가 가격상승보다는 물량증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물량확대 위주의 수출은 교역 상대국의 수입규제를 초래하는 등 통상마찰을 야기할 가능성이 커 수출의 지속적 증대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반도체·정보통신기기 등 특정품목에의 수출의존도 심화로 해당품목의 수출동향에 따라 전 체 수출동향이 좌우되는 등 수출구조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해당품목의 수출가격 하락으로 수 출증대 및 무역수지 개선에도 한계가 생기게 된다. 수출품목 개발을 통한 수출상품구조의 다변화와 함께 수출 주종품목의 가격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원가절감, R&D투자의 지속적인 확대 및 고부가가치제품의 개발 등이 시급한 상황이다. 원유가격 급등은 외부요인에 의한 것으로 불가피한 면이 있으나 원유비축 증대, 대체에너지 개 발, 가격정책 등을 통한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 효율화 유도, 가계 등 비산업부문의 에너지소 비 절약노력 강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래프,도표:<수입단가지수 등락률><원유 수입 및 증감요인><교역조건 변동률><수출입 증감요인 및 교역조건 동향> <Chemical Daily News 2001/12/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LG에너지, 조지아 투자 정상화 기대 | 2025-10-01 | ||
[에너지정책] 롯데에너지, 준법경영 성과 “인정” | 2025-09-30 | ||
[안전/사고] 에너지머티리얼즈, 사과문 발표 | 2025-09-26 | ||
[안전/사고] 에너지머티리얼즈, 또 황산 누출 | 2025-09-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①, 에너지 위기에 공급과잉 생존전략 수립 서두른다! | 2025-09-26 |